애플, 美 법원의 “수사협조 위해 테러범 아이폰 잠금 해제하라” 거부…대선 쟁점으로 부상 조짐

p1.jpg
▲ 사진=애플 테러범 아이폰 잠금해제 거부, 연합뉴스
애플 테러범 아이폰 잠금해제 거부.

아이폰 제조 기업인 애플이 법원의 테러범 아이폰 잠금장치 해제 명령을 개인정보 보호차원에서 거부했다고 미국 언론들이 18일(이하 한국시각) 일제히 보도했다.

공화당 대선 주자들은 애플의 이같은 결정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하고 나서 대선 쟁점으로 비화될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팀 쿡 애플 CEO는 지난 17일 ‘고객에게 드리는 메시지’를 통해 “미국 정부는 애플이 우리 고객의 보안을 위협하는 전에 없는 조처를 받아들이라고 요구해 왔다. 우리는 이 명령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FBI의 요구 수용은 고객의 개인정보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계했다.

앞서, LA 연방지법은 캘리포니아 주(州) 샌버너디노에서 지난해 12월 발생한 무슬림 부부의 총기난사 사건과 관련, 애플에 FBI의 총기테러 수사를 위해 이들 테러범의 스마트폰 잠금해제를 위한 기술 지원을 명령한 바 있다.

FBI는 14명을 살해한 이들 테러범 부부의 아이폰 교신 내용을 파악, 공범의 존재 여부나 극단주의 세력과의 연계성을 조사하려고 했지만, 잠금장치와 암호를 풀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공화당 대선 선두 주자인 도널드 트럼프는 이날 모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그 사람들은 도대체 자신들이 누구라고 생각하는 것이냐. 법원의 명령에 따라 애플은 잠금장치를 해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안보에 관련된 것인데 우리는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테러 방지를 위해) 머리를 써야 한다. 상식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애플은 지난 2014년 9월부터 문자 메시지나 사진 등의 정보들을 암호화, 기기가 잠겨 있으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가 있어야만 자료에 접근할 수 있고, 설정에 따라 10번 이상 잘못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기기의 모든 자료는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온라인뉴스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