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 명소를 소개합니다] 경북 영양 ‘국제밤하늘보호공원’

반짝반짝 빛나는… 글로벌 ‘별빛 명소’

▲ 천문대 별자리

현대인들에게 밤은 또 하나의 문화이자, 생활이다. 

또 예술가들에게 밤은 또 하나의 세계다. ‘별이 빛나는 밤’을 그린 빈센트 반 고흐에게 밤하늘은 무한함을 표현하는 대상이었다. 고흐는 “별을 보는 것은 언제나 나를 꿈꾸게 한다”고 말했다.

‘민족시인’ 윤동주는 시 ‘별 헤는 밤’에서 하늘과 별을 스스로를 돌아보는 성찰적 공간이면서 동경의 세계로 노래했다. 이처럼 밤과 하늘, 그리고 별은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는 아이템이자, 인간을 꿈꾸게 하는 자극제다. 


최근 각종 빛공해로부터 지친 현대인들에게 휴식과 활력을 되찾아 주는 밤하늘을 활용한 체류형 관광이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밤하늘 공원은 미국, 영국, 헝가리, 독일 등 5개국에 28개소가 지정됐다. 

우리나라에도 어두운 밤하늘에 쏟아질 듯 많은 별을 볼 수 있고, 여름에 맑은 날에는 언제나 은하수도 볼 수 있는 밤하늘 공원이 있다. 


경북 영양군 수비면 수하계곡 왕피천생태경관보전지구 일부를 포함한 반딧불이 생태공원 일대 390만㎡가 지난해 10월, 국제밤하늘협회(IDA, International Dark-sky Association)로부터 아시아 최초로 ‘국제밤하늘보호공원’으로 지정됐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6번째 지정 국가가 됐고, 영양군의 밤하늘이 국제적 청정지역 반열에 오르게 됐다. 


영양국제밤하늘보호공원의 밝기 등급은 IDA 밤하늘 질 측정기 등급기준으로 하늘 밝기 측정값이 평균 21.37mag/arcsec²(특정면적당 밝기 단위, 범위 21.74~21.00)로 탁월하고 밤하늘 투명도가 세계적으로 뛰어나 은하수, 유성 등 전반적으로 하늘에서 발생하는 현상의 육안관측이 가능한 지역으로 육지에서는 가장 밝게 볼 수 있는 은밤(Silver급) 등급을 받았다. 


경북 영양군 영양읍에서 30km 떨어진 수비면 수하리에는 청정 자연 그대로 보존돼 있는 장수포천과 왕피천이 흐르며 수하의 자연속에 영양반딧불이천문대와 반딧불이생태학교, 생태공원, 생태체험마을이 위치하고 있다. 영양군 자연생태공원관리사업소에서 운영하는 천문대, 생태학교, 그리고 청소년수련원은 자연생태체험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다.

1129939_1035007_4659.jpg
▲ 영양 반딧불이 날리기행사
영양반딧불이천문대는 2005년 9월에 개관, 일반인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시민천문대다. 반딧불이생태체험마을 특구 내에 위치한 영양반딧불이천문대는 여름철 밤하늘의 별과 함께 자연에 서식하고 있는 반딧불이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천체관측장소라고 볼 수 있다. 주간에는 태양망원경을 이용해 태양의 흑점과 홍염을 관측할 수 있으며 야간에는 행성, 성운, 성단, 은하, 달 등의 천체관측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반딧불이생태공원은 청정영양을 대표하는 우리나라 최대의 반딧불이 서식처로, 도심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다채로운 볼거리와 체험을 통해 천연자연경관의 아름다움과 환경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기 위한 공간이다.

생태공원은 반딧불이가 살 수 있도록 서식지를 조성해 놓았기 때문에 반딧불이의 방사와 반딧불이 탐방이 가능하다. 매년 반딧불이 날리기행사가 열려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권영택 영양군수는 “영양국제밤하늘보호공원 지정과 함께 환경지표 곤충인 반딧불이가 자연 서식하는 청정 자연환경과 반딧불이 생태공원, 반딧불이 천문대, 왕피천생태경관보전지구 보존,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 건립과 국가 산채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영양군의 청정자연과 생태자원을 연계시켜 사람과 자연이 하나 되는 생태도시조성 사업추진에 박차를 가해 우리나라 최고의 생태ㆍ힐링관광의 메카로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성남=문민석ㆍ강현숙기자 

■ 찾아가는 길 
ㆍ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수하리 240번지 
내비게이션 목적지는 ‘영양반딧불이생태공원’으로 검색하면 영양국제밤하늘보호공원이 나온다.

■영양반딧불이천문대 천체관측 프로그램 운영 
ㆍ주간 관측 오전 10시~오후 6시/야간 관측은 오후 7시 30분~10시
ㆍ입장료: 주간 어른 2천원, 어린이 1천원, 야간 어른 3천원, 어린이 2천원
ㆍ법정 공휴일 및 매주 월요일 휴관
ㆍ문의 ☎054-680-5331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