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6년 경제·수출위기 극복을 위한 통상전략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올해 22개 사업에 149억원의 예산을 투입, 1천83억달러 수출 달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도는 지난해 1천60억달러 수출을 기록한 바 있다.
도가 수립한 통상전략을 살펴보면 도는 △수출기업 육성 및 수출경쟁력 제고 분야 △수출기반 조성 및 수출인력 양성 △창조ㆍ혁신형 수출산업 발굴ㆍ육성 △도내 수출지원 거버넌스 구축 등 4개 분야에 22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도는 오는 3월 중국 광저우와 베트남 호치민시에 경기통상사무소(GBC)를 설치할 예정이다. 도는 현재 인도 뭄바이, 러시아 모스크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미국 LA, 중국 상해와 심양 등 주요 수출국 6곳에 통상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GBC는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시 언어와 문화, 관습의 차이에서 오는 장벽을 해소하는 등 해외마케팅을 지원하고 경기도와 해당 지역 간 경제통상, 교류협력 활성화 등을 추진한다. 도는 중국 충칭과 아랍에미리트, 터키, 독일 등지에도 통상사무소를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GBC 확대에 따라 도는 지난해 동경과 뭄바이, 상해에서 개최한 경기우수상품 해외전시회를 올해 동경, 뭄바이, 상해, 호치민, 심양, 쿠알라룸푸르 등 6개 도시로 확대 개최하고 참가기업 역시 175개사에서 325개사로 늘릴 방침이다.
또 청년과 대학생, 다문화, 유학생 등 4개 일자리 취약계층을 수출중소기업의 수출전문가로 활용하는 ‘경기청년+4 트레이드 매니저사업’을 새롭게 시작한다. 도는 이들을 대상으로 수출 관련 교육을 실시, 중소기업과 매칭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신규 일자리도 창출할 예정이다.
경제제재 해제로 수출 유망국으로 떠오른 이란을 비롯한 중동과 이슬람권 국가에 대한 판로확보를 위해서 ‘경기 할랄수출닥터’를 운영한다. 이 사업은 할랄 시장 진출을 원하는 수출기업 10개사를 대상으로 할랄 컨설팅, 인증, 전시회 참가를 지원하며 연간 150개사의 할랄 교육과 세미나를 진행할 계획이다.
오병권 도 경제실장은 “중국의 경기둔화와 유가 및 원자재가 하락, 글로벌 수요감소 등으로 도내 기업들의 수출 환경이 어려워지고 있다”면서 “경기도가 적극적이고 선도적인 수출 전초기지 역할을 하기 위해 수출지원시스템 전반을 점검하고 중소기업의 판로확대와 수출회복을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