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포천 물고기 떼죽음 악순환… 부평구 면피급급

2008년부터 4차례 발생 불구 관리 부서 이원화… ‘핑퐁게임’

굴포천에서 물고기 집단폐사(본보 21일 자 7면)가 수년째 되풀이되고 있음에도 부평구가 뚜렷한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다.

 

22일 부평구 등에 따르면 이번 물고기 집단 폐사 외에도 지난 2013년과 2010년, 2008년에도 굴포천 중류구간에서 물고기 수십 마리가 집단 폐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구는 굴포천 관리를 이원화해 서로 책임을 미루고 있는 실정이다. 전반적인 굴포천 관리는 구 기후변화대응과가 맡고, 환경보전과는 지역 내 하천 시료 채취와 오염·폐수 관리만 맡는다.

 

이들은 이전에 굴포천에서 발생한 물고기 집단 폐사의 원인에 대해 ‘상대부서 소관’이라며 떠넘기고 있다.

 

구는 2013년에도 삼산 3교에서 발생한 물고기 폐사 원인으로 하천의 용존 산소량 부족으로 추정하고 있을 뿐, 정확한 이유는 찾지 못했다.

 

더욱이 2013년 이전 벌어진 물고기 집단 폐사의 원인은 기록도 제대로 보관돼 있지 않다. 구 환경보전과 관계자는 “2013년에 죽은 물고기는 모두 30㎝ 이상이었고, 아가미가 벌어져 있는 상태라 산소량 부족으로 판단했다”며 “이전 기록은 전임 담당자에게 문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구 기후변화대응과 관계자도 “원인이 뭔지 모르니 우리도 답답하다”고 말했다.

 

구는 올해 발간할 부평구 환경보전계획서에 최우선 사업으로 ‘굴포천 복원 프로젝트’를 선정한 바 있다. 굴포천 복원과 더불어 관리를 철저히 하기 위해 유관기관이 모여 물고기 집단 폐사 원인을 규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인천녹색연합 관계자는 “구뿐만 아니라 보건환경연구원·해양수산연구원 등 전문가와 환경단체가 한자리에 모여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고 향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