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硏, 연구보고… 노후질환 유병기간 17년 ‘삶의 질’ 악화
또한 기대수명에서 건강수명을 뺀 잔여수명 동안 노후질환으로 보내는 유병기간은 17년(남성 14.1년, 여성 19.6년)으로 전망돼 향후 노인 삶의 질이 악화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29일 발간한 ‘경기도 고령친화형 마을만들기 기초연구’ 연구보고서를 통해 경기도의 2040년 노인인구는 378만명으로 2014년 노인인구 122만명보다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에 따르면 노인문제에 대한 대비책으로 고령(노인) 친화마을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84.4%가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20여년간 노인인구가 3배 정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에 맞춰 ‘노후장소성’을 감안하는 노인친화마을을 조성하는 대안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노후장소성(Aging in Place)은 노인이 살고 있는 장소나 마을에서 자립적인 노후생활을 하는 것을 말한다.
조사에서 노후생활을 보낼 장소로 노인 70.6%가 현재 거주주택, 실버타운 22.0%, 요양원 5.4%로 응답했으며 노후장소와 연계하는 고령(노인)친화마을에 대해 응답자의 84.4%가 필요하다고 답해 ‘고령친화마을 만들기’를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은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노후생활과 장소성 연계강화 △고령친화마을 만들기 추진 △향후 유관부서간 협업을 통해 실행계획 수립 △노후를 위한 보행환경 등 근린시설 개선과 정비 △건강, 여가 프로그램 확대를 위해 전문분야별 코디네이터 지원 △노노 주택공유 추진 △주중 노인할인 도입 등이다.
황금회 경기연 연구위원은 “향후 노인인구 급증에 대비해 노인친화마을을 만들고 복지ㆍ생활시설 등을 대상으로 도시계획, 보건복지 유관부서와 협업해 고령친화마을 실행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고령친화를 위해 경기도 고령친화점검단(안)을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최원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