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의 땅’ 이란… 도내 기업 ‘진출 교두보’

경기도·카즈빈주 경제협력 협약 남지사 “양국 상생발전의 미래”
헤마티 주지사 “관계 증진 희망”

경기도는 이란내 5위의 산업규모와 우수한 인적 자원, 뛰어난 교통인프라 등을 갖춘 이란 카즈빈주와 경제우호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한-이란 경제협력 기반 마련을 위한 폭넓은 동반자적 관계를 구축했다고 1일 밝혔다.

 

남경필 경기지사와 페레이듄 헤마티(Fereydoun Hemati) 카즈빈주지사는 29일(현지시각) 카즈빈주 정부청사에서 카즈빈 주 경제통상 관계자, 경기도상공회의소 회장단 대표로 동행한 이헌방 오산상공회의소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제우호협력을 체결했다.

경기도가 중동 지역과 경제우호협력 협약을 맺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경기도는 현재 아시아 12개 지역, 북미 3개 지역, 유럽 5개 지역 등 총 14개국 20개 지역과 경제우호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양 지자체는 이번 경제우호협력을 통해 통상 및 중소기업 지원은 물론 SOCㆍ에너지 합작투자, 보건의료, ICTㆍ농업 연구개발, 관광·인적 교류, 중소기업 파트너십 등 5개 분야에서 폭넓은 협력관계를 이어가기로 했다.

 

남 지사는 이 자리에서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는 카즈빈주와 협력 관계를 맺게 돼 기쁘다”며 “대한민국의 맏아들 경기도와 성장잠재력이 높은 카즈빈주와의 협력은 한-이란 간 협력의 미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헤마티 카즈빈주지사는 “카즈빈주는 1만년의 역사를 가진 이란 문화의 중심이자 교통요충지며 우수한 인력과 비옥한 토지, 이란에서 가장 큰 산업지대를 보유하고 있다”며 “카즈빈주와 경기도의 관계가 이란과 한국의 관계를 이끌어 나가길 희망한다”고 화답했다.

그는 이어 양 지역 교류의 상징이자 관계 발전을 위해 카즈빈주에는 ‘경기로(路)’, 경기도에는 ‘카즈빈로’를 지정하자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

 

카즈빈주는 이란 수도 테헤란시에서 북서쪽으로 약 150㎞ 떨어져 있는 지역으로 면적은 경기도의 1.5배다. 섬유, 피혁 등 직물산업과 농업이 발달했으며 교통·물류의 요충지다. 최근 한국 기업이 생산 공장을 증설하고 있어 경기도와 활발한 경제협력이 기대된다.

최원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