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위기 인주부화장 “이전대책 시급” 수차례 민원
道·안성시·경기도시공사, 심각성 알고도 책임 떠넘겨
전국 최대규모의 산란계 농장이 폐쇄위기에 놓이며 국내 달걀 수급에 큰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2월29일 6면)가 제기되는 가운데, 대규모 물류단지 유치에만 치중한 경기도와 안성시가 이 같은 문제의 심각성을 알고도 수년간 방관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양측이 ‘듣는 둥 마는 둥’하며 문제를 서로에게 떠넘기는 동안 결국 국내 양계산업이 벼랑 끝에 몰리게 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일 경기도와 안성시, 양계업계 관계자등에 따르면 도와 시, 경기도시공사, 신세계그룹은 대규모 물류단지 유치를 위해 지난 2011년 8월 신세계그룹이 지목한 공도읍 진사리 397의1(44만3천721㎡) 일대를 조성하는데 도와주겠다는 상호협력을 맺고, 2017년부터 공사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같이 대규모 물류단지 유치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돼 가는 동안, 단지 내 한가운데 놓인 탓에 꼼짝없이 이전해야 할 상황에 처한 인주부화장 측은 2012년부터 시와 경기도시공사측에 ‘부화장의 이전대책을 고려해 달라’고 수차례 민원을 제기해왔다.
인주부화장은 2012년 초 첫 민원 제기이후 2013년 1월과 8월 시 관계자와 면담을 했고, 같은 해 10월에는 경기도시공사가 인주부화장에 직접 현장을 방문해 둘러보기도 했다. 또한 2014년 9월, 지난달 초까지 3차례에 걸쳐 탄원서까지 제출했다.
그러나 그때마다 시와 도시공사는 ‘현재는 물류단지 조성 계획 중인 탓에 답변하기 어렵다’거나 ‘아직 고려할 때가 아니다’라고 회신하며, 자신들의 문제가 아니라고 책임을 회피하기 급급했다.
경기도시공사는 “사업승인을 받아야 시행자가 이전부지 마련 등에 대한 권리가 생기며, 그 전까지는 시가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말한 반면, 시는 “대책부지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사업시행인 경기도시공사도 대책 마련에 함께 나서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각각 표명했다.
이 같은 탁상행정에 인주부화장 측은 문제해결이 안되면 기업 도산으로 이어질 뿐 아니라, 국내 달걀 시장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새로운 부화장을 짓기위해 평균 3년이 걸리는데 반해 당장 내년에 물류단지 조성공사가 들어갈 예정이기 때문이다.
인주부화장 관계자는 “부화장의 경우 도시계획 심의만 1년 가까이 거쳐야 하고 살아있는 11만9천21마리의 닭을 문제없이 옮기기 위해서는 이전시간만 수년이 소요된다”며 “당장 내년 물류단지 조성공사가 들어가면 부화장은 폐쇄해야 하며 이에 양계업계는 벌써부터 미칠 파급에 신경이 곤두선 상태”라고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사업승인권자인 경기도의 한 관계자는 “아직 물류단지가 승인 전 단계지만 부화장의 대책마련에 난항을 겪고있는 상황인 만큼 문제 해결을 위해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박석원ㆍ조철오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