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대에 주춤한 김현수, 아직은 적응단계

첫 시범경기 출전 3타수 무안타 “다소 긴장, 패스트볼 공략해야”

제목 없음-2 사본.jpg
한국 프로야구에서 ‘타격기계’로 불린 김현수(28·볼티모어 오리올스)도 첫 메이저리그 시범경기 출전은 부담스러웠던 모양이다.

 

김현수는 2일(이하 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레이크 부에나 비스타의 챔피언 스타디움에서 열린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 시범경기에서 5번 타자·좌익수로 선발 출전, 3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21일 프리미어 12 결승전이 끝난 뒤 101일 만에 실전을 치른 김현수에게 첫 경기부터 맹타를 기대하는 건 애당초 무리였다. 실전 감각이 떨어진 이 시기에 빠른 공에 대한 대처는 더욱 어려웠다.

 

1회초 2사 2루에서 첫 타석에 들어선 김현수는 상대 선발 윌리암스 페레스의 140㎞대 중반의 직구를 공략하지 못하고 좌익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3회 1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도 투수 대니 브라와를 상대로 김현수는 속구에 밀려 1루 땅볼로 돌아섰다.

 

사실 시속 140㎞대의 공은 한국 프로야구에서도 자주 접했다. 김현수가 압도당할 구속은 아니다. 경기를 치르고, 시간이 지나면 이 정도 구속의 공에는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김현수가 자주 접하지 못한 시속 150㎞을 넘는 공을 공략하려면 한국에서보다 강속구 적응력을 빨리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

 

또 투심, 싱커 등 방향에 변화를 주는 패스트볼 계열의 공에도 익숙해져야 한다. 6회 좌완 헌터 세르벤카의 커브에 중견수 뜬공으로 돌아선 장면이 이를 뒷받침한다. 김현수는 빠른 공을 지나치게 의식하다 변화구에 미처 대처하지 못했다. ‘빠르고, 변하는’ 메이저리그 패스트볼 계열 공의 공략법을 찾아야 변화구 공략도 수월해진다.

 

6회말 수비 때 알프레도 마르테와 교체된 김현수는 경기 후 “다소 긴장했다”며 “메이저리그 투수들은 매우 빠른 공을 던진다. 적응을 위해 시범경기에서 투수 공을 많이 보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부족해 보이는 점은 경기를 하면서 고쳐나가겠다”고 밝혔다.

 

조성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