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소유 기업 “지역 발전에 필요”
환경단체 “어장·환경파괴 불보듯” 오늘 주민공청회서 격론 예고
인천 선갑도 채석단지 개발 논란이 수면으로 올라오고 있다.
지역 인근에 골재 등 채석 공급단지가 필요하다는 경제논리와 환경파괴 및 어장피해를 우려하는 반대논리가 맞서고 있다.
특히 인천 도서지역은 핵폐기장과 골프장 개발로 한 차례 홍역을 겪었던 굴업도 사태가 진화된 지 얼마 안 된 터라 선갑도 개발 논란이 새로운 논쟁의 불씨가 될 전망이다.
인천 옹진군은 오는 3~4일 승봉도와 덕적도에서 주민공청회를 열고 선갑도 채석단지 개발 주민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라고 2일 밝혔다.
선갑도는 지난해 섬을 소유하고 있는 A 업체가 산림청에 ‘채석단지’ 지정을 신청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A 업체는 선갑도 내 37만 6천756m² 부지를 채석단지로 개발해 17년 동안 총 1천800만m³의 골재를 채취하고, 콘도 등 해양레저 시설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인천 도서지역에 본격적인 채석단지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은 처음이다.
옹진군도 채석단지 개발을 반기는 눈치다. 도서지역 특성상 지역 내 토목공사에 필요한 골재 등 자재를 구해오려면 운반비 등 추가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에 인근에 채석단지가 생긴다면 경제적 이득이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인근 섬지역 주민과 환경단체는 선갑도 개발에 반대하면서 선갑도를 보호지역으로 지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선갑도 인근 대이작도 해역은 해양수산부 고시 제2003-99호 생태계보전지역이다. 오랫동안 무인도였던 선갑도는 수십 년간 사람의 출입이 거의 없어 자연생태계 보전상태가 매우 좋다.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선갑도는 가침박달, 쇠뿔석이, 멱쇠채, 두루미천남성 등 산림청이 지정한 희귀식물의 보고이자 식물학적 연구가치도 매우 높은 섬”이라며 “선갑도는 채석단지가 아니라 해양도서지역 산림유전자원보호지역으로 지정해 보전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설명했다.
옹진군과 A 업체 측은 주민공청회에서 나온 의견을 모아 산림청에 제시한 뒤 채석단지 지정 승인을 받을 예정이다. 산림청이 채석단지 개발을 승인하면 기본적인 행정절차는 마무리된다.
옹진군 관계자는 “채석단지 개발에 대한 모든 인·허가 권한은 산림청에 있다”며 “주민공청회에서 제시된 주민의 의견이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김미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