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연정실행위, 2차 회의… 의정기능 강화·제도화 방안 논의
누리과정 등 예산 다툼으로 위기에 직면했던 ‘경기연정’이 진정국면으로 돌아서는 분위기다.
경기도의회 여야, 집행부가 예산 파동 이후 4개월여만에 연정실행위를 가동한 가운데 경기연정기본 조례 제정 등 연정 시스템 강화를 위한 방안들이 논의되면서 향후 연정 기류에 어떠한 변화가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경기도 연정실행위원회는 8일 오전 도청 국제회의실에서 2016년 제2차 회의를 열고 경기도의회 의정기능 강화, 연정 법적 근거 마련 등 연정 강화 및 제도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연정실행위는 이날 회의에서 ‘의정기능 강화 지원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를 이달 말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토론회에서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상임위원회화와 국회의 입법조사처ㆍ예산분석처에 해당하는 기구 신설 등의 의제를 논의하게 된다. 도지사, 사회통합부지사, 도의회의장, 양당대표, 민간 전문가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연정실행위는 또 4ㆍ13 총선 이후 2차 토론회를 열어 연정 한계 극복을 위한 법률ㆍ제도적 근거 마련과 연정시스템 강화 방안 마련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특히 연정실행위는 연정의 가치와 운영방안 등의 내용을 담은 ‘경기연정기본조례’ 제정 등 연정 제도화를 위한 연구용역도 민간기관에 위탁해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연정실행위 공동위원장인 이기우 경기도 사회통합부지사는 “연정을 성숙시킬 수 있는 연정시스템 구축을 위해 도 집행부와 도의회가 적극적인 자세로 지속적인 소통을 이어나가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현삼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경기연정기본조례 제정에는 원칙적으로 찬성하지만 도의회와 사전에 충분한 조율을 거쳐야 한다”고 도의회 의견을 존중할 것을 강조했다.
또 윤태길 새누리당 대표는 “연정은 서로 배려하고 양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기연정기본조례에는 형식적인 내용보다는 이러한 연정의 정신이 구체화될 수 있는 실제적인 내용을 담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이 부지사, 김현삼 대표, 윤태길 대표 등 공동위원장 3명 외에 조광주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장, 새누리당 박광서 수석부대표ㆍ지미연 정책위원장, 황성태 도 기획조정실장, 배수용 보건복지국장 등이 참석했다.
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