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핵탄두 경량화 성공” 주장… 신빙성 있나

통일부 “北, 핵관련 소형화 기술 어느 정도 확보 판단”
韓美 군당국은 “미사일 탑재 수준 아니다” 엇갈린 평가

소형화된 핵탄두?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핵무기 연구 부문 과학자, 기술자들을 만나 핵무기 병기화 사업을 지도하는 자리에서 “핵탄을 경량화해 탄도 로켓에 맞게 표준화, 규격화를 실현했다”고 말했다고 조선중앙TV가 9일 보도했다. 사진은 김 제1위원장의 지도 모습으로, 아래쪽에 소형화된 핵탄두 모형으로 추정되는 은색 원형 물체가 보인다. 연합뉴스
정부는 9일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핵탄을 경량화해 탄도로켓에 맞게 표준화, 규격화를 실현했다’고 밝힌 데 대해 북한이 핵 소형화 기술을 일정부분 확보하고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어떤 나라의 핵 기술, 발전 정도, 그리고 1차 핵실험 이후의 여러 가지를 고려할 때 핵과 관련된 소형화 기술을 어느 정도 확보는 하고 있지 않느냐, 이렇게 판단하고 있다”고 이같이 밝혔다.

 

정 대변인은 다만 “군사정보 사항이기 때문에 국방부가 말씀드리는 게 맞지만 일반적인 사항만 말씀드리자면 그렇다”고 덧붙였다.

 

정 대변인은 최근 김 제1위원장이 연이어 핵공격 위협과 핵능력 과시를 하는 의도에 대해서는 “지금 대북제재가 유엔 차원과 또 여러 국가들의 단독제재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들의 대응방식의 하나라고 해석한다”고 밝혔다.

 

우선 군 당국은 실제 소형화된 핵탄두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군의 한 관계자는 “북한의 핵탄두 소형화 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다는 데 대해서는 어느 정도 평가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실제 소형화된 핵탄두를 탑재한 탄도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고 말했다.

 

정보당국의 다른 관계자는 “노동신문에 공개된 사진 등에 대한 분석 작업이 더 필요하다”면서도 “핵탄두로 추정되는 원형 물체는 모형일 가능성이 높고 북측의 주장대로 핵탄두의 경량화·표준화·규격화 성공 여부도 확실치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북측 주장의 신빙성이 높다고 할 수는 없다”면서도 “핵탄두 소형화와 관련한 기술적 수준은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피터 쿡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북한이 핵폭탄을 소형화해 미사일에 탑재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한 것으로 미국은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

 

쿡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의 핵 능력에 대한 미국의 평가는 바뀌지 않았다”면서 “북한이 탄두를 소형화하는 능력을 실증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은 여전히 북한의 미사일 위협을 억제하고 대응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미국은 동북아시아의 동맹국들 및 파트너 국가들과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으며 어떤 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쿡 대변인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상한다 하더라도 공중에서 성공적으로 요격할 수 있을 것으로 미국은 확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우리 식의 혼합장약구조로서 열핵반응이 순간적으로 급속히 전개될 수 있는 합리적인 구조로 설계된 핵탄두가 정말 대단하다고 평가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소형화에 성공했다는 핵탄두의 사진과 핵 미사일 설계도 일부를 공개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