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매매 거래량 지난해 동월대비 24.9%↓ 주택시장 더딘 ‘봄’

제목 없음-1 사본.jpg
올해 2월 주택매매거래량이 전년 동기대비 4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이는 주택담보대출 강화 등 주택시장 안팎 경제여건이 불안해지면서 실수요자들 사이에 퍼진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월 주택거래량은 5만9천265건으로, 전년동월(7만8천864건) 대비 24.9% 감소했다.

 

최근 5년 평균(6만8천건)과 비교해도 12.2% 가량 줄어든 수치다. 2월까지 누적된 주택거래량은 12만1천630건으로 작년보다 23.1% 적었다.

 

2월 주택거래량을 지역별로 보면 서울(9천910건)을 포함한 수도권이 2만8천84건, 지방은 3만1천181건으로 작년과 비교해 각각 25.1%, 24.1%감소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 거래량이 작년보다 34.0% 줄어든 3만8천225건, 연립ㆍ다세대주택의 거래량은 1.4% 감소한 1만1천830건이었다. 특히 아파트는 2월까지 누적된 거래량이 7만7천920건으로 작년 대비 32.4% 감소했다.

전국 주요단지 실거래가는 서울 강남권 재건축단지와 수도권 일반단지를 중심으로 보합세를 나타냈다. 강남 개포 시영 28.79㎡는 1월 5억2천만원에 거래됐다가 2월 들어 실거래가가 5억1천700만원으로 떨어졌다.

경기지역에선 안양 한가람세경 49.68㎡가 실거래가가 2억6천500만원에서 2억5천500만원으로 떨어졌고, 지방에서는 대구 수성 황금캐슬골드파크 84.97㎡가 5억500만원이 4억8천만원으로 내려갔다.

이달 처음으로 공개된 분양권 전매건수는 2월이 9천726건으로, 전달인 1월(1만2천42건)에 견줘 19.2% 감소했다. 분양권 전매건수가 줄어든 것은 지방의 분양권 전매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지방에서는 7천28건의 분양권 전매가 이뤄져 전월(9천389건)보다 25.1% 줄었다.

수도권에서는 2천698건의 분양권 전매가 이뤄져 전월보다 오히려 1.7%늘어났다. 서울에서 608건, 경기에서 1천848건이 거래돼 각각 35.4%, 5.4% 증가했다. 반면 인천은 분양권 전매가 전월에 견줘 46.3% 감소한 242건이었다.

2월 분양권 검인건수는 1만9천55건으로 1월(2만4천658건)보다 19.2% 줄었다. 분양권 검인은 최초 분양계약을 원인으로 소유권보존등기를 신청할 때 소재지를 담당하는 시ㆍ군ㆍ구청장에게 확인받는 것을 말한다.

 

주택거래량 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감정원의 부동산통계시스템 홈페이지(www.r-one.co.kr)나 부동산시장정보 애플리케이션 또는 국토부 실거래가 홈페이지(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규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