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개성공단 전면 중단을 선언한 지 5주째가 되는 16일 오후 2시 파주 임진각 망배단. 북녘에 가족을 두고 온 실향민들을 위로하고자 만들어진 망배단 앞에 개성공단 입주기업과 협력업체, 근로자들이 모였다.
한 달 전만 하더라도 한창 일터에서 매진하고 있을 시간이었지만, 1천여명의 개성공단 입주기업과 영업기업, 협력기업의 대표와 임직원, 가족들은 ‘개성공단 평화대행진’ 참가를 위해 넓은 광장 앞에 섰다.
‘평화공단 되살리자’, ‘지원이 아닌 보상을 촉구한다’고 적힌 현수막과 피켓을 들고 굳은 표정으로 서 있던 개성공단 근로자들은 김용환 개성공단 근로자 협의회 위원장이 “가족들의 눈을 쳐다볼 수 없다”고 말하자 울음을 터뜨렸다.
최근 퇴직을 권고받았다는 개성공단 근로자 이모씨(44)는 “부슬비를 맞으며 개성공단에서 쫓기듯 내려와 아내와 아이 얼굴을 봤을 때의 그 침통함은 평생 잊을 수 없을 것 같다”면서 “앞으로를 생각하면 힘을 내야겠지만 한순간에 일자리를 잃었다는 생각에 막막하기만 하다”고 울먹였다.
근로자들은 전날 정부가 발표한 개성공단 근로자 지원방안에 대해서도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김용환 위원장은 “생계유지를 위해 새로운 일자리를 알아보고 싶어도 심각한 취업난 때문에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정부의 결정으로 직장이 사라졌음에도 고용보장이 되지 않는 재취업 프로그램 참여와 생계비 지원 등을 대책이라고 발표하는 것에 좌절감을 느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개성공단 협력업체들 또한 그간 정부가 발표한 지원책에서 협력업체는 제외돼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박봉수 개성공단 협력업체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입주기업이 아니라는 이유로 정부 개성공단 지원책에서 협력업체는 철저하게 소외되면서 5천여 기업과 10만여 근로자들이 생존의 갈림길에 섰다”면서 “정부는 협력업체의 피해사항을 조사하고 모든 지원책에서 협력업체를 포함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날 참가자들은 ‘공단 재가동, 실질 보상’이라 적힌 주황색 풍선을 날리는 한편 망배단에서 통일대교 남단까지 왕복 5㎞ 거리를 행진하며 개성공단의 정상화와 남북평화를 기원했다. 이와 함께 개성공단 비상대책위원회는 입주업체ㆍ협력업체ㆍ근로자들의 피해보상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대국민 서명운동에 나서기로 했다.
정기섭 비대위원장(개성공단기업협회장)은 “정부에서 근거 법률이 없어 보상해줄 수 없다고 하니 보상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요청하겠다”며 “한순간 나락에 떨어진 기업과 근로자들의 생존을 위한 특별법 제정에 국민의 많은 호응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경기일보 뉴스 댓글은 이용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건전한 여론 형성과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은 삭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경기일보 댓글 삭제 기준
1. 기사 내용이나 주제와 무관한 글
2. 특정 기관이나 상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글
3. 불량한, 또는 저속한 언어를 사용한 글
4. 타인에 대한 모욕, 비방, 비난 등이 포함된 글
5. 읽는 이로 하여금 수치심, 공포감, 혐오감 등을 느끼게 하는 글
6. 타인을 사칭하거나 아이디 도용, 차용 등 개인정보와 사생활을 침해한 글
위의 내용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불법적인 내용이거나 공익에 반하는 경우,
작성자의 동의없이 선 삭제조치 됩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