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신사참배 거부 죽음으로 맞서다… 주기철 목사 일대기 ‘일사각오’

제목 없음-2 사본.jpg
일제 강점기에 신사참배에 반대해 갖은 고문을 당하면서도, 자신의 신앙을 지키며 나라와 민족을 위해 끝까지 저항한 주기철 목사.

한국기독교의 상징적인 인물인 동시에 가장 대표적인 순교자로 여겨지고 있는 그는 47세의 젊은 나이에 옥사하며 유일하게 남긴 유산은 ‘일사각오(一死覺悟)’라는 네 글자로 대표되고 있다.

17일 개봉한 영화 <일사각오>는 오직 믿음으로 거대한 일제 권력에 맞서 싸운 주기철 목사의 일대기를 다룬다. 영화는 주기철 목사의 삶을 통해 ‘식민지 역사’를 관통하고, 13살 아들의 눈으로 본 ‘인간 주기철’을 조명한다.

그가 하나님을 처음 만나게 된 것은 한일강제 합병으로 ‘나라’를 잃은 13살이었고, 목사 안수를 만던 1925년에는 서울 남산에 조선 신궁이 세워졌다. 이후 황국신민화 정책을 내세운 일본이 천황이 사는 곳을 향해 절하는 궁성요배와 신사참배를 강요했고, 이에 일사각오의 전신으로 신사참배를 반대한 주기철은 광복을 1년 앞둔 1944년 마흔 일곱 살의 나이로 순교한다. 영화는 종교적 신념을 넘어 범인류적 ‘정의와 신념’의 의미를 묻는 동시에 한국기독교의 독립 운동사를 보여준다.

아버지 주기철은 나이 13살에 ‘나라’를 잃고 ‘하나님’을 만났지만, 아들 주광조는 나이 13살에 ‘아버지’를 잃고 ‘하나님’을 등졌다.

 

역사는 주기철을 독립 운동가이자 순교자로 기록하고 있지만, 아들 주광조는 “내 아버지는 그저 인간적인 사람”이었다고 말한다. 영화는 공식적인 역사가 기록하지 못하는 인간 주기철의 고뇌와 번민, 갈등을 13살 아들의 시선으로 보여준다. 

송시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