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도심 고령화 가속… 건강도시가 답이다

인발연, 주거환경사업 대안 제시
현재 대부분 일회성 정책 남발
보행친화적 도로망 확충 시급

인천시가 추진하는 원도심지역 저층주거지 주거환경사업 방식이 고령화에 대비한 보행환경 개선 등 건강도시 조성으로 진행되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됐다.

 

이종현 인천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7일 ‘주거환경관리사업 대상지의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근린환경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과제 결과 발표를 통해 “특히 인천지역 원도심 고령화가 빨라져 건강에 대한 주민 인식 및 고령친화도시 조성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 같은 정책적 고민이 없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실제 시가 정비사업 해제지역 등 21곳을 대상으로 저층주거지 주거환경 관리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골목길 정비, CCTV 설치, 주차장, 주민 커뮤니티 시설, 폐·공가 매입 등 일회성 사업내용으로만 구성되는데 그쳐 보다 효율적 예산집행을 위한 예산수립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 연구위원의 주장이다.

 

그는 “대상지 일부지역에 복합용도개발 추진으로 공원과 운동장 등 다양하고 넓은 물리적 시설을 조성해 이를 통해 주민들이 쾌적한 환경을 보장받고 건강도시 형성에 기여하도록 해여 한다”며 “대상지 내 안전하고 보행친화적인 교통체계 구축 등 보행친화적 도로 확충이 제일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노후한 주거환경이 개인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과감한 거주환경 물리적 개선이 요구된다”며 “시 차원에서 건강도시조례를 제정, 전반적 건강도시화를 통한 경갱력 있는 도시로 도약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