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산하 24개 공공기관 13개로 통폐합해야”

道 용역보고서, 경기과기진흥원ㆍ문화의 전당 등 6개기관 폐지 대상에

경기도 산하 24개 공공기관을 13개로 통폐합해야 한다는 용역결과가 나왔다.

 

27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25일 엘리오앤캠퍼니가 낸 용역보고서에는 경기과학기술진흥원과 경기도문화의전당, 경기도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 경기도청소년수련원, 경기영어마을, 경기농림진흥재단 등 6개 기관이 폐지 대상에 올랐다.

 

폐지 대상으로 분류된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은 산학연지원 기능이 경기테크노파크와 중복되고 기초과학기술정책연구 기능은 경기연구원으로 이관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농림진흥재단은 농식품유통과 친환경급식 등 주요 기능이 도 농정해양국과 중복되거나 민간위탁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됐다.

 

민간기관과 경쟁하는 경기도청소년수련원과 경기영어마을은 공공성이 희석됐다는 이유로 폐지 대상이 됐고 수원시와 지분을 공유하고 수원지역 중심으로 사업이 전개되는 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과 경기도문화의전당은 수원시로 이전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경기도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등 10개 기관은 통합대상이 됐다.

Untitled-1 copy.jpg

통폐합 대상으로 분류된 경기도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와 경기콘텐츠진흥원, 경기테크노파크 등 3개 기관의 경우 창업·판촉ㆍ통상지원 등 기능이 유사해 경기경제산업진흥원을 신설해 통합할 것을 제안했다. 또 경기도시공사와 경기평택항만공사를 합해 경기공사를 신설하는 방안도 나왔다. 경기평택항만공사의 물류부지조성ㆍ임대가 경기도시공사 기능과 중복된다는 이유다. 경기문화재단이 한국도자재단을 흡수해 문화예술진흥과 예술인지원 기능을 총괄하는 방안이 합리적인 것으로 제시됐다.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ㆍ경기복지재단ㆍ경기연구원에 분산된 정책연구 기능은 경기연구원으로 일원화하도록 했다.

 

경기대진테크노파크 등 4개 기관은 기능조정 방안이 마련됐다.

 

기능조정 대상으로 분류된 경기대진테크노파크는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소속 경기섬유종합지원센터를 운영하고 경기신용보증재단이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의 전통시장ㆍ소상공인 지원업무를 넘겨받도록 했다.

 

경기도의료원 소속 병원은 의료여건이 열악한 지역으로 확장ㆍ이전하고 경기관광공사는 관광산업진흥이라는 설립취지에 맞게 재단으로 설립형태를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했다.

 

중복기능이 없지만 향후 경영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기능고도화 4개 기관으로 킨텍스ㆍ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ㆍ경기도장애인체육회ㆍ경기도체육회 등이 분류됐다.

 

한편, 도는 용역보고서를 여야연정 실행위원회 산하 ‘경기도 공공기관 경영합리화 추진협의회’에 제출하고 협의회는 최종 통폐합방안을 마련해 오는 5월 도의회 임시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도의회의 조례 제ㆍ개정 절차를 거쳐 이르면 9월 실질적인 통폐합이 가능할 것으로 도는 예상했다.

 

최원재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