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 일자리 17만개 창출 위해 5조6천억원을 투입한다.
29일 도북부청에 따르면 도는 올해 직접 일자리 창출, 직업능력 개발 훈련, 고용서비스, 고용장려금, 창업지원, 일자리 인프라 구축, 기타사업 등 7개 분야에서 17만9천개 일자리 창출의 내용을 담은 ‘2016년 경기도 일자리대책 세부계획’을 도 홈페이지(www.gg.go.kr)에 공시했다.
일자리 대책으로 △청년, 여성, 중ㆍ장년 등 계층별 맞춤 지원 △지역ㆍ산업 현장 맞춤형 인력양성 △고객 중심 일자리 서비스 향상을 위한 체계 구축 △좋은 일터 만들기 △NEXT경기 성장동력 육성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따복 공동체를 통한 사회적 경제 활성화 등을 6대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또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직접 일자리 창출,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서비스, 고용장려금, 창업지원, 일자리 인프라 구축, 기타사업 등 7개 분야의 세부목표를 설정했다.
직접 일자리 창출 분야는 복지와 일자리를 접목한 공공 일자리 제공,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기본 방향으로 노인일자리 지원, 노숙인 자활 지원 등 75개 사업을 추진한다. 4천217억원을 들여 일자리 3만4천개를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직업능력 개발 훈련 분야에는 아이돌봄 지원, 군인가족 맞춤형 취업교육 등 18개 사업이 추진되며 334억원을 투입해 일자리 4천200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고용서비스 분야에는 대학생 등 청년을 대상으로 한 경기 청년 뉴딜사업, 4050 재취업 지원 등 16개 사업이 추진돼 4만5천개 일자리를 만든다.
사회적 기업 등에 인건비를 지원해 고용을 늘리려는 고용장려금 분야에 101억원을 투입해 534개 일자리를 창출하고, 창업지원 분야에서 로컬푸드 직매장 등 20개 사업을 추진, 6천여개 일자리를 만들 방침이다.
이밖에 산업, 문화, 국토ㆍ환경, 농림ㆍ해양ㆍ복지 분야에서 모두 72개 사업에 5조265억원을 투입, 7만6천개 일자리를 창출한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 및 뿌리산업 육성 지원에 중점을 둔 31개 사업, 게임ㆍ출판 등 문화콘텐츠 육성에 17개 사업, 미군 반환 공여구역 활성화 등에 13개 사업이 각각 추진된다.
7개 분야 외에도 개발제한구역 조정 등 5개 민간부문 사업을 지원해 4천700개 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다.
오병권 도경제실장은 “올 한 해는 청년실업 해소 등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으로 전력을 다하겠다”며 “특히 가칭 경기도 일자리 재단 설립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공공 고용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창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