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공펌프로 세계정복, GBC와 함께라면 OK!
현재 미국 LA와 중국 상하이·선양, 러시아 모스크바, 인도 뭄바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등 5개국 6곳에서 운영되고 있는 GBC는 도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해외마케팅대행 사업, 전시회 공동관 참가 지원 사업, 해외 G-FAIR 개최, 통상촉진단 운영 등을 통해 기업의 해외진출 교두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난해 GBC는 해외마케팅대행 사업을 통해 111사를 지원, 2천200만달러 수출계약 성과를 올렸으며 해외 G-FAIR를 통해서는 167개사를 지원, 3억2천800만달러 수출상담 성과를 기록한 바 있다. 9차례에 걸친 통상촉진단 운영을 통해서는 84개사 1억5천400만달러 수출상담을 성사시키기도 했다.
■ 진공펌프 장인 기업, GBC와 함께 세계로
파주시에 위치한 진공펌프 생산 기업인 (주)두백 역시 GBC의 도움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실현하고 있다.
지난 1990년 두일기계로 첫 시작을 알린 (주)두백은 지난 26년간 꾸준히 진공펌프에 대해 연구하고 생산해 오면서 쌓은 노하우로 국내 시장에서는 인정받은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포화상태에 이른 국내 시장에서 벗어나 해외 진출을 모색하던 (주)두백은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를 찾았고, 지난해 6월 GBC 뭄바이의 해외마케팅대행사업에 선정, 인도시장 진출을 실현하게 됐다.
해외마케팅대행사업은 자력으로 해외시장 개척이 어려운 중소기업을 위해 GBC 소속 현지 전문가들이 바이어 발굴부터 계약까지 기업을 대신해 지사 역할을 수행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에 선정된 (주)두백을 위해 GBC 뭄바이 현지 마케팅 직원이 인도 델리 소재 K사를 발굴, 현지 출장 및 미팅 지원은 물론 계약조건 자문 등 거래 진행을 위해 밀착 지원함으로써 (주)두백과 K사 간 독점 대리점 계약을 체결 할 수 있도록 도왔다.
세계 4위의 송풍기(Blower) 제조사로 인도전역에 6개 지점을 구축ㆍ운영하고 있는 K사는 (주)두백과 연간 14만달러 가량의 공급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계약을 통해 (주)두백의 진공펌프는 인도는 물론 파키스탄과 네팔 등 인근지역까지 진공펌프를 공급할 수 있게 됐다.
■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찾아와… 300만달러 수출 기업으로 거듭날 것
지난 1990년 두일기계로 첫 시작을 알린 (주)두백은 당시 해외수입 제품에 의존하고 있던 진공펌프 시장에 국산제품을 내놓으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홍 대표는 “건축분야를 전공한 뒤 우연한 기회에 진공펌프를 해외에서 수입해 국내에 판매하는 일을 하게 됐다”며 “당시 전적으로 해외제품에 의존하고 있는 진공펌프를 국내에서 제작하면 좋겠다는 생각에 창업을 하게 됐다”고 회상했다.
홍 대표는 영업을 하면서 모은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진공펌프를 직접 제작하기 위해 동생과 두일기계를 설립했고, 1991년 건식 로터리 베인 진공펌프의 국산화를 시작으로 1992년에는 이비인후과 석션펌프와 오일순환 로터리 베인 진공펌프를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수입 진공펌프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에게 국산 진공펌프를 어필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았다.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받지 못하던 (주)두백에 기회가 찾아온 것은 IMF였다.
홍 대표는 “해외 제품만 사용하던 소비자들이 IMF 위기를 겪으면서 국산 제품에 눈을 돌리게 됐다”며 “IMF라는 국가적 위기가 오히려 큰 기회가 된 것이다.
그러나 기회를 포착해 성공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었던 것은 8년이 넘는 기간 어려움을 이겨내고 진공펌프에 대한 기술개발을 지속적으로 해왔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찾아온다는 믿음이 있다”고 말했다.
IMF 이후 본격적으로 국내 시장에서 호응을 얻기 시작한 (주)두백은 직원이 단 2명인 회사에서 연매출 20억원을 기록하는 강소기업으로 거듭나게 됐고 이제는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는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
홍 대표는 “지난해 25만달러 수출에 이어 올해는 100만달러 수출에 도전하고 있다”며 “GBC를 통해 인도시장을 개척했고, 최근 이탈리아 시장에도 진출하는 등 해외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3년 이내에 300만달러 이상을 수출하는 기업을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한눈에 보는 中企지원 안내
■ 경기도 중국 종합 통상촉진단 참가기업 모집
-신청자격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 중 사업장소재지(본점포함) 또는 공장 소재지가 경기도이고 지난해 수출 금액 2천만달러 이하
-신청기간 : 3월31일 18시까지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www.egbiz.or.kr)
-문 의 : 경기중기센터 마케팅팀 (031-259-6147)
■ 2016 ASEAN DAY 참가기업 모집
-신청자격 : 경기도에 사무소 혹은 공장을 보유한 중소기업
-신청기간 : 4월17일까지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www.gtrade.or.kr/bms)
-문 의 : 경기중기센터 마케팅팀(031-259-6148)
■ 2016 G-FAIR 상해 참가기업 모집
-신청자격 :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 중 사업장소재지(본점 포함) 또는 공장소재지가 경기도인 기업
-신청기간 : 4월22일 18시까지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www.egbiz.or.kr)
-문 의 : 경기중기센터 수출팀 (031-259-6134,9)
※ 자료제공 :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경영정보팀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 및 취소 될 수도 있습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