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양상 여전 野 위기감 고조
4ㆍ13 총선의 투표용지 인쇄일인 4일을 하루 앞두고도 야권의 분열양상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투표용지 인쇄가 들어간 이후에는 단일화가 이뤄지더라도 사퇴한 후보의 기호와 이름이 그대로 표기될 수밖에 없어 야권의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3일 경기도선관위에 따르면 인쇄시설이 부족한 특수한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지역에서는 4일 총선 투표용지 인쇄에 들어간다. 현행 공직선거관리규칙상 총선 투표용지 인쇄일은 후보자등록 마감일 9일 이후인 4일부터다.
인쇄가 시작된 이후 후보자가 사퇴할 경우에는 투표지에는 별도의 표기가 없이 투표소에 안내문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후보자의 사퇴를 알리기 때문에 대규모의 무효표가 발생될 여지가 높은 상황이다.
하지만 야권연대의 끈을 놓고 있지 않고 있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의 야권연대 논의가 지지부진하게 이뤄지면서 야권의 긴장감이 더해지고 있다.
특히 제1야당인 더민주의 경우 도내에서 백혜련(수원을), 박광온(수원정), 전해철(안산상록갑), 김철민(안산상록을), 고영인(안산단원갑), 이학영(군포을), 김정우 후보(군포갑) 등이, 국민의당에서는 부좌현 후보(안산 단원을) 등이 야권연대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가시적인 연대논의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더민주가 중앙당 차원에서 고양갑과 안양동안을에서 정의당과 연대 가능성을 열었음에도 막상 해당 지역 후보들이 연대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어 이같은 분열양상이 선거일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더민주 고양갑 박준 후보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야권연대 절대 하지 않겠다. 완주해 승리로 보답하겠다”고 밝혔다. 이러면서 투표용지 조기 인쇄를 둘러싼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더민주 강희용 부대변인은 지난 2일 논평에서 “경기도 선관위의 경우 44곳의 선관위 중 43.2%에 달하는 19곳, 23개 선거구가 이미 인쇄를 마쳤거나 조기 인쇄를 결정한 상태라고 한다”며 “(조기인쇄가 추진되는) 공교롭게도 23개 선거구 중 21개 선거구에서는 더민주와 국민의당 후보가 출마한 지역으로, 야권단일화가 진행되고 있거나 논의 가능성이 있는 지역”이라고 주장했다.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