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해지 고객 늘어… 해지환급금 18조원 사상 최대 규모

“먹고살기는 점점 어려워지는데 언제 받아서 쓸지도 모르는 보험을 계속 유지하기가 쉽지 않아요.”

 

지난해 보험을 해지하는 고객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침체된 경기가 계속되면서 팍팍해진 살림살이에 지출을 줄이고자 가입한 보험을 깨는 것이다. 6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25개 생명보험사가 고객에 지급한 해지환급금은 18조4천651억원으로 집계됐다. 생명보험사의 연간 해지환급금 규모가 18조원 이상 지급된 것은 생명보험협회가 관련 통계를 별도로 집계하기 시작한 2002년 이후 14년 만에 처음이다.

 

해지환급금은 만기가 다가오기 전에 고객이 계약을 깨고 찾아간 돈이다. 보험사들의 총 계약 규모가 꾸준히 커지는 만큼 직접적으로 경제위기와 연관지을 수는 없지만, 해지환급금이 늘어나는 것은 그만큼 가계의 생활이 어려워졌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신호라 볼 수 있다. 생명보험회사의 해지환급금은 지난 2002년부터 연간 13조원 안팎을 유지하다가 글로벌 금융 위기가 닥쳐온 2008년 17조7천885억원까지 급증한 바 있다. 2009~2010년에 다시 13조원대를 유지하던 해지환급금은 2011년 14조9천579억원, 2012년 16조9천251억원 등으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지난 2014년에는 17조1천271억원까지 증가해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지난해 18조원을 넘어선 것이다.

 

손해보험사의 저축성ㆍ보장성 등 장기보험 해약도 급증하고 있다. 손해보험협회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손보사의 장기해약 환급금 규모는 9조8천999억원으로 역시 200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손보사들의 장기해약 환급금 역시 2012년 8조4천777억원에서 2014년 9조1천245억원으로 연달아 최고치를 경신하며 10조원대를 넘보는 수준에 이르렀다.

 

가계가 보험료에 대한 부담감을 점점 크게 느끼고 있다는 점은 생명보험협회가 3년마다 시행하는 ‘생명보험 성향조사’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전국 2천 가구를 대상으로 벌인 제14차 조사에서 지출 가능한 최대 보험료는 월평균 42만3천원으로 2012년의 49만원보다 13.7% 하락했다. 응답자들이 제시한 지출 가능한 최대 보험료는 2000년 30만4천원으로 집계된 이후 줄곧 증가하다가 지난해 처음 떨어졌다. 보험료로 월 40만원 이상 지출할 수 있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율 역시 지난해 50.3%로 2012년의 66.0%에 비해 15.7%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보험사들은 이렇게 보험료 부담을 느끼는 고객에 초점을 맞춰 해지환급금을 줄이는 대신에 보험료를 20~25% 낮춘 상품을 줄지어 내놓고 있다. 이런 상품은 오랜 기간 저금리 기조를 유지해 온 일본 등지에서 이미 큰 인기를 끈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상품들은 보험료가 낮은 대신에 중도에 계약을 해지하면 기존 상품보다 훨씬 적은 돈을 돌려받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적은 보험료 부담에 덜컥 가입했다가 생활이 어려워져 계약을 깨야 하는 상황에서는 기존의 보험상품보다 큰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는 “내부적으로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워진 보험사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손해를 줄이려 할 수 있는 만큼, 감독 당국에서도 주의해서 지켜봐야 한다”며 “소비자들은 보험에 가입하기 전에 계약을 얼마나 유지해야 손해를 보지 않는지, 보험료가 장기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인지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