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ㆍ13 총선 열기가 뜨겁지만 선거에 나선 후보들과 여야 정당, 그들만의 얘기다. 한 표라도 더 얻기위해 장밋빛 공약을 남발하고, 어느 지역 후보들은 그동안 잘못했다며 무릎까지 꿇었지만 국민들은 냉담하다. 정치 불신 분위기에 더해 최근의 공천 파동이 정치 혐오감을 부추겨 선거 혐오증으로까지 나타나고 있다.
선거유세에 대한 소음 신고가 하루 500건 이상 접수되는 것과 관련, 우리 사회 전반에 선거 혐오증이 고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과거에는 귀를 찌르는 선거송과 유세가 확성기를 통해 흘러나와도 시민들이 선거철임을 감안해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엔 거부감을 나타내며 경찰에 신고부터 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들을 가치가 없는 소음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3일까지 전국의 유세 소음관련 신고는 2천143건으로 하루 평균 535건이다. 2014년 6·4지방선거 때 하루 211건의 2.5배나 된다. 이 기간 경기지역에선 709건의 소음신고가 접수됐고, 인천에선 214건의 신고가 들어왔다. “유세 차량에서 트는 선거 연설과 노래가 너무 시끄럽다”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경찰은 선거 유세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상 소음 규제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별다른 처벌을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은 하지만 선거 캠프 측에 자제를 당부하는 정도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휴대용 마이크 등 소형 확성기는 오전 6시~오후 11시까지, 차량에 연결한 앰프 등 대형 확성기는 오전 7시~오후 10시까지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른 아침부터 밤까지 선거운동이 계속되는 탓에 이를 소음으로 여기고 짜증스러워하는 유권자가 적지 않다. 선거를 통해 정치 불신과 혐오가 해소되는 게 아니라 시끄러운 선거운동으로 정치 혐오 현상이 증폭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이런 분위기는 부동층을 확산시키고 투표 참여율을 낮출 수도 있다.
이번 총선을 계기로 경쟁적으로 유세송을 틀어대며 길거리 유세단이 율동을 하는 식의 시끄러운 선거운동 문화를 바꿀 필요가 있다. 유세차량 확성기에 의존하는 후진적 선거운동은 접을 때가 됐다. 연설을 통해 정책 메시지를 진중하게 전달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정치인들은 왜 유세 소음신고가 부쩍 늘었는가 진지하게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