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최저임금 단계적 인상
더민주, 서민 복지·일자리 창출
국민의당, 새로운 대안정당 강조
여야가 사전투표가 종료되는 9일 이후 중도층을 공략할 선거전략 마련에 분주하다.
적극지지층의 경우 8일과 9일 실시되는 사전투표를 통해 상당수가 투표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한 30% 안팎의 유권자들을 사로잡기 위한 대책을 구상 중이다.
7일 각 정당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중도층을 겨냥하면서 야권 지지층까지 일부 흡수하고자 최저임금의 단계적 인상과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 도입을 총선 공약으로 내놓았다.
이같은 공약은 최저임금을 중산층(가계소득순위 25~75%) 하위권 수준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인상하면서 기업성장 위주의 이미지에서 탈피하는 한편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 적용을 위한 법제도 마련해 중도 성향의 유권자들을 넘어 서민층과 노동계 표심까지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새누리당은 포퓰리즘적 복지공약 경쟁이 국가경제를 망치는 위험 요소라고 규정하면서도 실효성에 무게를 둔 복지정책도 부각 중이다. 기초연금과 학자금, 보육 분야를 대상으로 복지혜택 도움이 더 절실한 계층에 집중적인 지원을 하는 형태로 복지시스템을 조정하는 방침을 앞세워 복지수요계층의 표심을 공략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선거 초반부터 이념전을 버리고 박근혜정부의 경제 정책 실패를 부각하면서 대안경제정당을 전면에 내세웠던 전략을 선거 막판까지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의 경제 정책 실패를 질타하면서 특정 지역에 대기업을 유치하겠다는 전략까지 밝힌 데 이어 새누리당의 양적완화 정책에 대해 “새누리당이 IMF 사태 장본인”이라고 정면으로 비판하는 등 경제정책으로 맞불을 놓고 있다.
더민주는 이날 최운열 국민경제상황실장이 브리핑을 통해 “OECD도 재정의 역할 강조하고 있음에도 새누리 정부는 ‘증세 없는 복지’ 허구에 막혀 경제 활성화하는 재정 역할을 포기했다”며 “더민주는 고용유발효과가 높은 보육, 돌봄, 포괄간호 서비스 등 보건 및 사회복지에 적극적으로 투자해 서민경제에 직접적 도움을 주고 일자리도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당은 양당구도의 정치에 실망한 유권자들의 마음을 남은 기간 동안 자신들의 지지층으로 흡수한다는 방침이다. 낡은 정치에 투표를 주저하고 있는 유권자들에게 새로운 대안 정당으로서의 포지셔닝을 통해 중도층과 무당층의 표심을 공략한다.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