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지지층 투표 끌어 올려라”… 20~30대 유권자 투표율 선거판 변수
4·13 총선 인천지역 사전투표율이 10.81%로 전국 평균을 밑돌아 이번에도 투표율이 전국 하위권을 면치 못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따라 이틀 앞으로 다가온 공식선거운동 종료를 앞두고 여야 모두 투표율 향상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 8~9일 이틀간 인천지역 151곳(전국 3천511곳)에서 일제히 치러진 제20대 총선의 사전투표율은 12.19%(513만 1천721표)로 기록됐다.
그러나 인천의 투표율은 10.8%(25만 7천260표)로 부산(9.8%), 대구(10.13%), 제주(10.7%)보다 다소 앞선 14위에 그쳤다. 특히 인천 전 지역에서 처음 실시된 2014년 6·4 지방선거 당시 투표율인 11.33%(26만 2천816표)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돼 우려를 낳고 있다.
이는 이번 총선을 앞두고 막판까지 여야가 줄다리기를 벌인 선거구 획정안에 인천지역이 상당수 포함돼 이른바 ‘깜깜이 선거’의 직격탄을 맞은데다 후보자 공천 갈등이 유독 인천에서 핵심 이슈로 떠오른 탓에 유달리 증폭된 정치 혐오가 투표율로 나타났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2012년 치러진 제19대 총선에서 인천지역 투표율은 51.4%로 전국 17개 시·도 중 최하위를 기록했으며, 2014년 지방선거에서도 53.7%의 투표율로 전국 15위에 그쳤다.
이에 따라 여야는 이틀 남은 공식선거운동 기간 투표율 향상을 위해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인천시선거관리위원회 역시 선거일이 임박하면서 상대후보 비방 등 허위사실 유포는 물론 금품 및 음식물 제공 등 불법행위 발생 우려가 커지면서 단속 인력을 총동원하기로 했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이번 사전투표율이 예년 수준을 보여 투표율이 큰 반등을 보이긴 어려울 것으로 우려된다”며 “20~30대 젊은 유권자의 투표참여 여부가 투표율의 막판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민교·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