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헤시페병원 마리아 페레이라 박사팀 “지카 바이러스…또 다른 뇌질환과도 관련 가능성”

p1.jpg
▲ 사진=지카 바이러스, 연합뉴스
지카 바이러스.

브라질 헤시페병원(RHR)의 마리아 페레이라 박사팀이 “지카 바이러스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더 많은 중추신경계 질환과 관련돼 있을 수 있다”고 보고했다고 현지 언론들이 11일(이하 한국시각)일제히 보도했다.

마리아 페레이라 박사팀은 오는 15~21일 열리는 미국신경학회(AAN) 연례총회 발표에 앞서 지난 10일 공개한 논문 초록을 통해 “지난 2014년 12월~2015년 6월 RHR병원에서 진료받은 아르보 바이러스(모기 등이 옮기는 바이러스) 감염증상 환자들 가운데 6명으로부터 자가면역 질환성 뇌 신경 이상 증상이 나타났다”며 이처럼 밝혔다.

이들은 모두 지카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됐으며 뎅기열이나 치쿤구니아 바이러스엔 음성반응을 보였고, 6명 가운데 4명은 길랭-바레 증후군(GBS)으로 진단됐으며, 2명은 급성 산재성(散在性) 뇌척수염(ADEM) 등으로 판정받았다.

ADEM은 전선의 플라스틱 피복처럼 신경을 여러 겹으로 둘러싼 인지질 성분의 수초(Myelin)가 갑자기 곳곳에서 손상돼 뇌가 부풀어 오르면서 다발성 경화증(MS)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낸다.

급성발열, 두통, 구토, 의식 장애에서 혼수, 사지마비, 경련을 일으키며 MS에 비해선 증상이 강하지만 대체로 6개월 이내 회복된다.

페레이라 박사는 “비록 사례의 규모가 작고, 지카 바이러스가 이런 뇌병변의 분명한 원인인지는 더 연구해봐야 한다. 그러나 우리 연구 결과는 지카 바이러스가 기존 연구에서 발견된 것과 또 다른 영향을 뇌에 미친다는 점을 확인시켜준다”고 말했다.

허행윤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