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는 한국전력, 한국에너지공단과 업무협의체를 구성해 인천항에 화석연료를 대신할 친환경 에너지원을 공급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선박에 화석연료 사용을 막아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육상 전원공급시설을 도입해 친환경 항만을 만들겠다는 것이 목표다.
인천항만공사는 이날 인천항 항만안내선 에코누리호에서 한국전력공사 인천지역본부, 한국에너지공단 인천본부와 ‘인천항 육상전원공급설비 도입 업무협의체 구성’ 협약을 맺었다.
협약에는 3개 기관이 인천항 선박에 육상 전원공급(AMP)을 활성화하기로 협조하는 방안을 담았다.
선박 육상전원공급이란 항만 내에 선박이 정박할 때 배에서 필요로 하는 필수전력을 육상에서 공급하는 것을 뜻한다. 선박 정박 시 전기에너지를 쓰기 때문에 벙커C유를 쓰는 현재 방식보다 선박 운용비를 줄일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도 낮출 수 있어 환경개선에 도움이 된다.
현재 인천항에는 내항 34개를 포함해 총 50개의 AMP 시설이 설치돼 있다. 그러나 전기의 공급 및 수급시설을 설치하는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드는 탓에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었다.
인천항만공사는 앞으로 AMP 설치와 관련된 안전기준 및 기술적 문제 등을 해결하고 최적의 시설운영 방안을 수립해 한전이 인천항에 AMP 시설을 성공적으로 설치해 운영할 수 있도록 협조할 예정이다.
또 한전은 새로운 전력수요와 시장의 발굴 및 창출을 적극 모색하고, 에너지공단은 선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검증과 인증절차 이행을 지원, AMP 시설 투자주체(한전)가 온실가스 저감량만큼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기로 했다.
인천항만공사 이규용 건설본부장은 “항만의 특수시설인 AMP 시설을 제대로 활용하면 항만을 이용하는 선사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기후변화 규제에 부응하는 항만 에너지 공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미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