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 등급 110곳 서울 이어 두번째 많아… 정밀 안전진단 실시
인천시가 전문가 검증 미흡으로 실효성이 떨어지는 현행 인천지역 재난위험시설물 안전등급 전면 재조정에 나선다.
14일 시에 따르면 인천지역 재난위험시설물(D·E등급)은 모두 110곳으로 전국 특·광역시 중 서울시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재난위험시설물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공동주택(아파트)으로 87곳(79%)에 달한다.
그러나 이들 공동주택 대부분이 주거환경개선 및 재건축 등을 목적으로 자체적인 안전진단을 받아 등급을 결정한 것으로 나타나 실효성 논란이 제기돼왔다. 관할 구청의 전문가 재검증이 이뤄지지 않은 채 등급을 수용해왔기 때문이다.
이처럼 재난위험시설물 등급 부여 등 불합리하고 현실과 맞지 않은 기준에 따라 관리가 이뤄짐에 따라 시는 재난위험시설물 관리 강화에 나서기로 했다. 현행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명시된 규정을 엄격히 적용, 시 안전관리자문단을 포함한 30명의 검증단을 구성해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키로 했다.
검증단은 건축물 주요 부재에 진전된 노후화, 구조적 결함 등을 집중적으로 점검한다. 점검 결과 안전등급이 불합리하거나 현실에 맞지 않은 등급이 부여된 경우 관할 지자체에 통보해 안전등급을 상향 조정할 방침이다.
시 재난안전본부 관계자는 “재난위험시설물 등급 재조정으로 행정 신뢰도를 높이고 관리대상 시설물을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