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소야대로 더불어민주당ㆍ새누리당…국민의당 3당 체제…朴대통령 국정운영 방식 수정 불가피

p1.jpg
▲ 사진=여소야대 3당 체제, 연합뉴스
여소야대 3당 체제.

20대 총선 결과 새누리당 참패로 여소야대가 되면서 종전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과의 2당체제가 더불어민주당과 새누리당, 국민의당 등 3당체제로 전환되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운영방식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새누리당에 대해선 ‘배신의 정치’를 내세워 일사불란한 대오 형성을 요구해 왔고, 야당에 대해선 경제살리기 법안에 사사건건 발목을 잡고 있다는 비판을 반복적으로 해왔으며, 연장선상에서 총선을 앞두고는 ‘국민 심판론’으로 야당을 정면 겨냥했었다.

이는 국정지지율 40%대가 유지된 가운데 여당이 원내 제1당으로 과반 의석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었다.

그러나 이제는 상황이 180도 달라졌다.

여당의 급속한 입지 위축은 박 대통령의 보폭을 좁히는 요인이 될 수 밖에 없고, 이번 총선을 통해 기존의 리더십에 한계를 노출한 만큼 대대적인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것이 정치권의 분석이다.

여권 내부에선 야당의 총선 모토였던 ‘정권 심판론’이 적잖은 호응을 받았다는 분석이 팽배한 가운데, 종전과 같은 수직적인 당·청 관계가 지속되면 결국 내년 대통령선거에서 불리해진다는 지적도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

16년 만의 ‘여소야대’ 국회를 만든 민심을 정확하게 읽지 못하고 자칫 미봉책으로 국면을 전환하려는데 그치면 정권 재창출이 요원하다는 자성도 나오고 있다.

허행윤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