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ㆍ13 총선 결과 광주, 군포, 구리, 파주 등 경기도내 4개 기초지자치단체장과 국회의원의 소속 정당이 달라 지역발전을 우선으로 하는 공조체제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 13일 실시된 총선 결과, 수원ㆍ부천ㆍ광명ㆍ의왕ㆍ과천ㆍ구리ㆍ오산ㆍ군포ㆍ파주ㆍ광주ㆍ양주 등 11개 지자체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후보자가 모두 당선됐다.
반면 평택ㆍ동두천ㆍ연천ㆍ하남ㆍ이천ㆍ안성ㆍ포천ㆍ가평ㆍ여주ㆍ양평 등 10개 시ㆍ군에서는 새누리당 소속 국회의원 후보자가 당선됐다.
이같이 21개 지역에서 지자체 관내 국회의원의 정당이 통일된 가운데 4개 지역에서는 해당 지역 지자체장과 정당이 다른 국회의원 후보자들이 모두 당선, 묘한 긴장감이 돌고 있다.
광주시의 경우 조억동 시장이 새누리당 소속인 가운데 국회의원 두석 모두는 더불어민주당이 차지했으며, 파주시도 이재홍 시장이 새누리당 출신인 반면 더민주 소속의 윤후덕(파주갑), 박정(파주을) 후보가 당선됨에 따라 지자체장과 국회의원의 정당이 서로 교차됐다.
군포에서는 김윤주 시장이 총선에 앞서 더민주를 탈당하고 국민의당에 입당한 가운데 더민주 소속 후보자들이 두개 지역에서 모두 당선되면서 소속 정당을 달리하게 됐으며, 이번 총선과 함께 치러진 구리시장 보궐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의 백경현 후보가 당선된 반면 더민주 소속의 윤호중 후보가 3선에 성공했다.
이들 4개 지역에서는 지자체장과 국회의원간 힘겨루기가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 국민의당으로 당적을 옮긴 김윤주 시장의 경우 당을 옮기기 이전부터 이학영 의원과 갈등설이 꾸준이 제기돼왔기 때문에 새로 국회의원 신분이 된 김정우 당선자의 완충효과가 요구된다.
구리의 경우에도 이전까지 윤 의원과 박영순 전 시장이 같은 정당 소속으로 구리월드디자인시티 사업 추진 등에 대해 확고한 공조체제를 유지해왔으나 새누리당 시장의 출현에 따라 이전과는 다른 양상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