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도시재생특위, 지원대상 지역 전국 33곳 낙점
정부는 18일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 서울청사에서 제6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고, ‘2016년도 도시재생사업 지원 대상지역 확정 및 특화구상’과 ‘도시재생사업 종합지원방안’을 심의ㆍ의결했다. 이날 특위에서는 지난해 지자체 공모를 거쳐 선정된 경제기반형 5곳, 중심시가지 근린재생형 9곳, 일반 근린재생형 19곳 등 총 33곳의 지역을 신규 도시재생사업 지원 대상지역으로 선정했다.
우선 공공청사 이전부지, 유휴항만 등을 거점으로 한 경제기반형 사업(6년간 최대, 각 지자체별 250억원 지원)에는 부천시 원미구(수도권 창조경제의 거점 부천 허브렉스)를 포함, 인천 중ㆍ동구(인천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 서울 노원ㆍ도봉구, 대구 서ㆍ북구, 대전 중ㆍ동구 등 5곳이 최종 선정됐다. 또 과거 도시의 행정ㆍ업무ㆍ상업 중심지였던 원도심을 살리는 중심시가지형 사업에는 부산 영도구 등 9곳의 지자체가 선정돼 5년간 최대 100억원의 예산을 지원받는다.
특히 낙후된 주민생활환경을 개선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일반 근린형 사업에는 수원 팔달구(세계문화유산을 품은 수원화성 르네상스), 성남 수정구(주민들이 함께 만드는 언덕 위 태평성대 도시재생사업), 부천 소사구(성주산을 품은 주민이 행복한 마을), 인천 강화군(‘왕의 길’을 중심으로 한 강화 문화 가꾸기) 등 19곳이 선정됐으며, 이들 지자체는 5년간 최대 50억원의 사업비를 지원 받게 된다.
이와 함께 정부는 새롭게 선정한 33곳의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국토부ㆍ문체부ㆍ중기청ㆍ법무부ㆍ농식품부ㆍ해수부ㆍ행자부ㆍ고용부ㆍ여가부 등 9개 부처가 협업하는 범정부 종합지원방안을 마련, 시행키로 했다. 특히 사업단계별 관문심사를 도입해 단계별 목표 달성 때만 사업을 계속 진행토록 엄격히 관리해 사업 성과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도시재생사업이 제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각 지자체별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을 수시로 진행할 것”이라면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컨설팅단과 도시재생지원기구 등 전문적인 지원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