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이 누리예산 공세에 나섰다. 더민주당 소속 윤화섭 의장은 “추경안에 대해 양당이 심의 방법을 결정하고 도의회가 정확한 일정을 결정하는 것인데 사전 논의 절차도 거치지 않은 채 4월 중에 진행될 것이라고 공공연하게 공개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대충 넘어갈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도가 누리과정 예산 5천500여억원이 포함된 추경안을 도의회에 제출하는 과정을 지적한 것이다.
윤 의장만의 뜻은 아닌 듯 보인다. 김현삼 더민주당대표도 누리예산 편성에 대한 도지사의 유감 표명 등을 요구하며 “(이런 조건이) 선행돼야 심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당 이재준 의원은 한 발 나아가 20대 총선 당선자들을 향해 ‘누리 과정 예산의 정부 집행을 실현을 위해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총선 압승에 이은 야당의 공세다. 이런 분위기는 산하기관 통폐합 등 도정 현안 전반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남경필 도지사에겐 분명 새로운 부담이다. 직접적 카운터 파트너인 도의회의 지형이 바뀌었다. 이번에 치러진 재보궐 선거 7곳 가운데 5곳을 더민주당이 가져갔다. 더민주당과 새누리당의 의석수가 22석(74석ㆍ52석)으로 벌어졌다. 정치 전반을 아우르는 국회 판도는 더 일방적이다. 더민주당 40석, 새누리당 19석, 정의당 1석이다. 안팎으로 여소야대의 압박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도의회의 누리 예산 공세는 그 시작점에 있다.
2014년 취임 당시의 연정과 지금의 연정이 그래서 다르다. 2년 전 연정은 남 지사가 우월적 위치에서 ‘베푸는’ 성격의 연정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불리한 위치에서 펴는 ‘부탁하는’ 성격의 연정이다. 누리 과정 예산도 부탁해야 하고, 산하 기관 통폐합도 부탁해야 한다. 교육청과의 관계 역시 발언권이 커질 것으로 보이는 이재정 교육감을 상대로 ‘부탁하는’ 교육 연정을 펴 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결코,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그렇다고 부정적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지금이야말로 남 지사의 정치력을 피력할 수 있는 여건이다. 연정의 기본 정신은 함께 가는 것이다. 지나간 2년의 경기도정이 그랬다. 부지사와 산하기관장 자리를 야당에 양보하며 함께 가는 정치를 펴왔다. 역설적이게도 그런 연정의 정신이 꽃을 피울 수 있는 정치적 환경이 바로 지금이다. 남 지사가 오는 25일 20대 총선 경기도 당선자와 자리를 마련한 것도 그런 취지일 것이다.
새누리당이 참패했다. 대선 잠룡들도 무더기로 낙선했다. 남은 후보군들도 관심 밖으로 밀려났다. 새누리당에게 1년 6개월 뒤는 무주공산이 돼 버렸다. 그런 공백 사이로 ‘남경필 대망론’이 고개를 든다. 차기 대선에 남 지사가 강력한 후보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렇다면, 더 중요한 것이 지금부터의 경기도정 연정이다. 어려움 속에 풀어가는 연정을 통해 대망론을 평가받고 큰 정치인의 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