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방경찰청이 남부와 북부로 둘로 나뉘면서 치안정책 역시 둘로 쪼개졌다. 특히 경기도, 경기도교육청 등 외부 기관과 함께 업무협약(MOU) 등을 체결하고 추진하던 대민 치안정책까지 반쪽으로 전락, 도민을 위한 정책이 아닌 지휘관의 치적 쌓기를 위한 정책이라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
20일 경기남·북부지방경찰청에 따르면 경기경찰은 지난해 12월 정용선 경기청장(현 남부청장)이 부임한 이후 다양한 치안정책을 펼치고 있다. 교통관련으로는 ‘안·매·켜·소(안전띠 매고 전조등·방향지시등 켜면 안전과 소통을 확보한다) 운동’을 추진하며 학교폭력과 등하굣길 안전을 위해 ‘학교 다녀오겠습니다’라는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이를 위해 경기경찰은 남경필 경기지사를 비롯해 교통관련기관, 지역 언론사 등 20여개 관계기관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방송인 임백천씨와 성악가 정경씨 등을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또 40초 분량의 ‘안매켜송’을 제작해 SNS 등을 통해 홍보하기도 했다. 또 지역 학교와 함께 초등학생의 안전한 등하굣길 조성 및 학교폭력, 성범죄 예방활동을 벌이는 ‘학교다녀오겠습니다’ 캠페인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지난 3월 정부가 경기지방경찰청을 남부와 북부로 분할하면서 이 같은 경기경찰의 대민 치안정책도 반쪽으로 전락했다. 남부청은 기존 치안정책을 계속 추진하는 반면, 북부청은 자체 치안정책을 내세우고 있기 때문. 현재 북부청은 ‘나쁜 운전 추방운동’이라는 교통 관련 치안정책을 진행하고 있으며 학교 관련은 "학교애(愛) 안전"으로 이름을 변경해 추진하고 있다.
경기경찰청 2청에서 북부경찰청으로 승격한 북부청이 이렇듯 치안정책을 전면 수정하자, 도민은 물론 경찰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앞서 경기경찰의 치안정책은 도민에게는 큰 호응을 얻었으나 경찰 내부에서는 지나친 ‘치적 쌓기’라는 비판을 받아온 바 있다. 도내 한 경찰관은 “가뜩이나 지휘관의 치적 쌓기에 직원들만 등골이 빠진다는 말이 많았는데, 이제는 아예 지휘관 입맛따라 치안정책이 바뀌고 있다”면서 “누구를 위한 치안정책인지 모를 지경”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경기남·북부경찰청 관계자는 “지휘관이 새로 온 만큼 치안정책의 방향과 명칭은 변경할 수 있다고 본다”면서 “정책마다 수정 보완을 통해 지역 특성에 맞게 도민을 위한 다양한 치안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안영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