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에서 나타난 인천지역의 표심(票心)이 지역정가를 긴장시키고 있다. 역대 총선에서 여당에 계속 다수석을 안겨준 인천지역 표심이 이번 선거에선 새누리당의 오만과 독선에 등을 돌리면서 전국 득표 결과처럼 여소야대의 구도를 형성했다. 이 때문에 민선 6기 유정복 시장의 시정(市政)구현에 험로가 예상된다.
이번 선거에서 새누리당은 13개 지역구에서 4석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 공천 탈락에 반발, 무소속으로 출마 당선된 안상수(중·동·강화·옹진)·윤상현(남구을) 등 친여 무소속 2명을 합해도 6석에 불과하다. 19대 때의 6대6 균형이 깨지면서 7석을 얻은 더민주당에 역전된 거다.
특히 더민주당 소속의 이른바 ‘송영길 사단’의 국회 입성이 심상찮다. 송 전 시장(계양을)을 비롯해 송 시장과 시정을 이끌었던 윤관석 전 대변인(남동을)·신동근 전 정무부시장(서구을)유동수 전 인천도시공사 감사(계양갑) 등 4명이 당선됐다. 이들은 누구보다 시정을 잘 알고 있어 유 시장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여기에 박찬대 당선자(연수갑)도 가세할 태세다.
그렇잖아도 지난 18일엔 더민주 당선자 7명이 기자회견을 열고 유 시장의 ‘불통’을 비난했다. 이들은 그동안 유 시장이 국비확보 등을 위해 야당 의원과 소통하지 않았다며 앞으로 불통행정을 좌시 않겠다고 경고했다. 그래서 지난 2014년 지방선거 당시 논쟁을 벌였던 신세계백화점·송도 6·8공구 등 자산매각 문제와 수도권매립지 사용 연장 및 광역 철도망 구축 등 중앙정부 관련 현안에 대해 유 시장과 견해차가 두드러져 갈등과 마찰이 예상된다.
따라서 유 시장은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여·야·정 협의체 운영과정에서 야당의원들과의 폭넓은 대화로 이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협력을 이끌어 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편으론 지방행정이 대부분 생활행정인 만큼 야당 의원들도 소속당의 이해관계로만 접근해서도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지역발전에 장애가 될 뿐이다. 일각에서 우려하는 ‘송영길 사단’의 신(新)권력구도 형성 역시 경계할 일이다. 새누리당의 참패로 박근혜 정부의 조기 레임덕이 가시화되면 유 시장에 미칠 영향도 적지 않을 것이다. 친박으로 ‘힘 있는 시장’을 내세워 당선된 유 시장의 입지가 좁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더민주 의원들이 선거 승리에 취해 사사건건 발목잡기에만 매몰되면 민심이 이반하게 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인천발전을 위해선 악연의 감정적 대결보다 총선에서 당선된 안상수·송영길 등 전직 시장들의 시정 경험을 토대로 한 초당적 조언과 협조가 절대 필요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