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경기연·5개 시·군 ‘동부 지역발전 공동실천 협약’
남경필 경기지사와 동부지역 5개 시장군수, 임해규 경기연구원 원장은 21일 오후 샘표식품(주) 이천공장에서 ‘경기동부 지역발전 공동실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경기연은 분야별 박사급 12명으로 연구진을 꾸리고, 경제ㆍ사회, 산업ㆍ관광, 환경, 지역ㆍ교통, 법ㆍ제도 등 10개 분야를 중심으로 올해 안에 동부지역 종합발전계획의 청사진을 마련하기로 했다.
경기도와 5개 시ㆍ군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기동부 지역발전 연차별 실행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종합계획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행정적, 재정적 지원과 국비확보에 공동 협력하기로 했다.
남 지사는 “열악한 북부지역 발전을 위해 열심히 일했더니 ‘북경필’이란 별명이 생겼었는데, 오늘부터 동경필도 해보려고 한다”며 “오늘 협약을 통해 환경과 산업이 공존하는 대한민국의 허파이자 대한민국의 산업 중심으로 경기 동부 지역을 함께 만들어보겠다”고 말했다.
경기동부발전계획 책임연구를 맡은 이외희 경기연 도시공감실장은 동부발전계획 연구 방향을 발표하면서 “동부지역은 수자원과 자연환경 등의 보전을 위해 개발이 어려워 주민불만 뿐 아니라 지역발전에 대한 장기 비전이 부재하다”며 “체계적인 종합발전계획 마련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협약 체결 후에는 기업투자를 가로막고 주민들의 불편을 야기하는 불합리한 규제를 발굴해 현장에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규제현장, 도지사가 나갑니다’가 진행됐다.
오경환 샘표식품(주) 전무이사는 “최근 장류제품의 수요 증가에 따라 8만5천㎡ 공장증설과 2천억원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나, 자연보전권역 내 공장면적 제한(6만㎡ 이하)으로 증설을 못하고 있다”며 “국가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하루 속히 규제를 개선해 달라”고 호소했다.
김종성 하이트진로(주) 부장은 “주류제조 공장으로 하천수를 사용하는데 사용량으로 부과하지 않고 허가량으로 부과한다. 연 허가량의 1/3 정도만 사용하는데 사용료는 100% 전액 부과하는 방식은 문제가 있다”고 하천수 사용료 부과방식의 불합리성을 지적했다.
조억동 광주시장은 “샘표식품 공장부지를 보며 마음이 아팠다. 경기도가 수도권 규제 완화에 큰 힘이 돼 주셨으면 한다. 광주시도 최선을 다해 돕겠다”며 적극적인 지원을 부탁했다.
김정오ㆍ최원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