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협력과 소통 노력…빠른 시일 내 새누리ㆍ더민주ㆍ국민의당 등 3당 대표와 만날 것”

p1.jpg
▲ 사진=3당 대표 만날 것, 연합뉴스
3당 대표 만날 것.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26일 오후 청와대에서 45개 중앙언론사 편집ㆍ보도국장과의 오찬 간담회를 통해 “이란 방문(5월1~4일)을 마치고 돌아와 빠른 시일 내 3당 대표와 만날 것을 정례화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정책 사안에 따라 여야정 협의체를 만들어 집중 연구하고 전향적으로 일이 되게 하면 좋겠다. 여야가 정부와 소통하면서 일을 풀어가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변화와 개혁을 이끌면서 각계각층과 협력과 소통을 잘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 박 대통령과 3당 대표의 청와대 회동은 빠르면 다음달 중순께 성사될 예상이다.

박 대통령은 그러나 총선 결과가 보여준 민의를 두고 “식물국회 개혁을 위한 양당 체제 심판이며, 국회의 변화를 위해 국민이 3당 체제를 만들어 준 것”이라고 규정했다.

박 대통령은 “국정 운영이 잘못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만 밝혀, 총선 책임론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20대 국회에서도 청와대와 집권여당, 야당의 갈등 관계는 근본적으로 풀리기 힘들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노동ㆍ규제 개혁과 경제살리기 등 핵심 국정 과제들도 여소야대 구도에서 표류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박 대통령은 정국 주도권을 되찾기 위해 야당과의 거국내각ㆍ연합정부 구성 등 정계개편이나 개각, 개헌 등을 추진할 가능성도 모두 차단했다.

박 대통령은 경제ㆍ위기를 거론하면서 “국면 전환 용 개각을 할 여유가 없다”고 말했지만, 청와대 인적 개편 관련 질문에는 답하지 않아 여지를 두었다.

박 대통령은 시행을 5개월 앞둔 부정청탁 금지법(김영란법) 시행에 대해선 “우리 경제를 너무 위축시키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속으로 많이 했다. 국회 차원에서 다시 검토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관련, “지금의 교과서로 배우면 북한을 위한, 북한에 의한 통일이 된다”며 현행 교과서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허행윤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