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시 대표 “포괄적 피해보상하겠다”
피해자 가족들 “검찰 수사 면피용”
한국서 철수 요구… 英본사 형사고발
도내 시민단체 불매운동도 확산
검찰 수사가 본격화되고, 소비자들의 불매 운동이 확산하자 등 떠밀려 사과한 것이라며 한국에서 자진 철수하라고 강력히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아타 울라시드 사프달 옥시 대표는 2일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7월까지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고 피해자의 의견을 반영해 최종적인 보상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진행한 1ㆍ2차 피해조사(2013~2015년)에서 1등급(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피해가 거의 확실)과 2등급(가습기 살균제 피해 가능성 높음) 판정을 받은 이들 가운데 옥시 제품을 사용한 피해자들에게 보상한다는 안이다. 3ㆍ4등급 판정을 받은 피해자를 위해서는 2013년과 지난달 두 차례에 걸쳐 조성계획을 밝힌 100억원 규모의 인도적 기금을 보상하는 방안을 내놨다.
하지만 이날 기자회견장을 찾은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와 가족들은 ‘검찰 수사 면피용’이라고 비판하며 옥시의 대응을 강하게 비난했다. 문제의 제품을 회수한 지 5년 만에 사과에 나서면서 구체적인 대안은 커녕 자체적인 진상 파악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게 이유다.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 등은 이날 영국 본사 레킷벤키저의 최고경영자 라케시 카푸어(Rakesh Kapoor) 등 이사진 8명 전원을 살인죄, 살인교사죄, 증거은닉죄 등의 혐의로 검찰에 형사 고발했다.
시민단체에서도 옥시 상품 불매 운동 및 자진 철수를 촉구했다. 경기환동운동연합과 수원 YWCA 등 도내 시민사회단체는 이날 오후 수원역 광장에서 ‘가습기 살균제 제조 기업 처벌 촉구와 옥시 상품 불매 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옥시는)제품의 독성을 알고서도 상품을 생산 유통하고, 피해를 확인한 연구결과를 은폐했다”며 “우리 사회와 미래를 존속시키기 위해 옥시의 처벌과 추방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옥시는 1996년 출시한 가습기 살균제를 리뉴얼해 2001년부터 폴리헥사메틸렌구아디닌(PHMG) 성분이 든 살균제(옥시싹싹 뉴가습기 당번)를 판매해왔다.
정부와 국회의 조사에 따르면 1ㆍ2차 가습기 살균제 피해조사 대상 530명 가운데 옥시 제품만 쓴 사용자는 220명, 옥시와 타사 제품을 함께 쓴 사용자는 184명으로, 조사 대상의 80.3%(404명)에 달한다. 1·2등급 판정 피해자 221명 가운데 옥시 제품 사용자는 178명이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