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구단인 프로축구 인천유나이티드가 수년째 주주들의 정보 관리에 손을 놓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9일 인천유나이티드 등에 따르면 구단은 지난 2003년과 2004년 두 차례에 걸쳐 시민주를 공모, 총 4만 7천여 명의 인천시민으로부터 195억 원을 모아 시민구단으로 출범했다. 전체 1천395만 7천234주 가운데 시민주가 58%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주주는 4만 4천여 명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구단이 이들 주주에 대한 정보 등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고 있다. 구단의 주주 명부 확인 결과 대다수 연락처가 수년 전부터 사용되지 않는 016·018·019 등으로 시작하는 번호로 적혀 있다. 또 휴대전화번호가 결번으로 연락처가 확인되지 않는 주주도 상당수다.
구단은 지난 2013년부터 주주들의 이 같은 정보를 갱신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구단 경영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보내주던 우편과 문자메시지 발송도 중단됐다. 일부 주주는 구단 측에 민원을 넣어 자신의 정보를 수정하기도 했지만, 여전히 우편·문자메시지는 받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우편·문자메시지가 끊기면서 주주인 시민들은 구단의 경영정보 등을 알지 못하게 된 것은 물론, 주주총회 등에서 누려야 할 최소한의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구단의 주주 명부가 제구실을 하지 못하면서 현재는 주주가 직접 구단 홈페이지를 통해 본인의 연락처·주소 등을 고쳐야 하지만, 수정 후에도 구단 측으로부터 아무런 정보도 받을 수 없다.
이에 대해 인천유나이티드 관계자는 “수년 전 주주의 주소·연락처 업데이트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우편물 상당수가 반송돼 되레 업무가 마비되기도 했다. 지금은 예산 부족과 인력난 등으로 중단했다”면서 “주주의 정확한 정보 확인을 위해 시민주주연합회 등과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최성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