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사자·시민 반발 등 공청회 논란 예고
인천시가 현재 인천지역 버스노선의 절반을 바꾸는 대대적인 노선 조정안을 사실상 확정했다.
그러나 노선 조정에 대한 운수종사자와 시민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향후 공청회 과정에서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시는 9일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에 맞춘 인천 시내버스 노선 조정안을 확정 발표했다. 조정안에 따르면 인천지역 시내버스(2천328대)의 운행노선이 215개에서 202개로 조정된다. 이 중 85개 노선이 변경되고 15개 노선이 신설돼 전체 노선 조정률은 52.6%에 달한다.
1981년 7월 인천직할시로 승격한 지 30여 년 만에 대대적인 노선개편에 대해 시는 인천지하철 1호선·2호선으로 대표되는 지하철 노선 신설 등 변화한 대중교통환경에 맞춘 필수적인 조정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 송도, 청라, 영종 등 높은 인구 유입에 따라 이용객이 많은 지역에 운행 대수를 늘리는 등 지역별로 변화된 수요를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노선 개편에 따라 버스 운행 대수는 청라가 170대에서 280대로, 송도 185대에서 305대로, 영종 134대에서 146대로, 서창이 81대에서 232대로 늘어난다. 시는 이번 조정으로 평균 배차간격이 3분 단축되고, 노선당 운행 대수가 0.7대 증가하면서 전체 이용자의 평균 통행시간도 약 8분 절감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운행 조정 노선에 따른 운수종사자와 시민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논란은 사그라지지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 노선 중복 개선 및 굴곡도 개선 여파로 다니던 버스가 사라지는 지역의 주민과 운행 구간 변경으로 수익 변동이 불가피한 일부 운수종사자의 반발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시가 지난달 옹진군을 제외한 9개 군·구에서 실시한 시민설명회 과정에서 변경·폐선 노선에 대한 기존 노선 존치와 차량 전환배치에 따른 요금 인상 요구가 빗발쳤다. 이 때문에 10일과 11일 두 차례 예고된 시민설명회 과정에서도 불만이 표출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와 관련, 유정복 시장은 이날 간부회의를 통해 “개편 전 국장, 과장, 사무관 등 (시장 포함)전 직원이 시범 운행 기간 버스를 타고 출퇴근하면서 문제점을 진단할 필요가 있다”며 “시민설명회에 버스를 이용하는 수요자가 많이 올 수 있도록 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시는 오는 27일 오후 시청에서 버스정책위원회를 열어 시내버스 노선 조정안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정민교·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