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의존보다 인간 존중이 먼저!” 공학자 켄타로 토야마의 ‘기술 중독 사회’

이세돌과 인공지능(AI)의 바둑 대결을 놓고 최재천 국립생태원장은 “인류가 두려워해야 할 상대는 AII가 아니라 AI를 만드는 인간”이라고 주장했다.

 

<기술 중독 사회>(유아이북스 刊)의 저자 켄타로 토야마도 같은 의견을 제시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인도 연구소 공동 창립자인 켄타로 토야마는 기술 발전이 인류 운명을 좌우한다는 논리에 반기를 든다.

 

누구보다 기술에 의존했던 공학도인 저자가 ‘기술만능주의’에 대한 반박이 아이러니하지만, 그는 구체적인 예를 내놓으며 기술에 대한 또 다른 시각을 제시한다.

일례로 기술 혁명을 선도하는 미국의 빈곤율이 여전히 12%대를 유지하는 등 디지털 기술이 결코 사회 병폐를 완하시키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이어 그는 기술이 발전해도 결국 우리 인간의 삶이 예상에 못미치는 수준인 것을 기술의 효과 ‘증폭’이라 설명한다. 어떠한 기술을 어떤 사회 흐름에 적용하면 그 흐름이 증폭한다는 것이다. 농업기술의 발전으로 굶는 사람이 줄고, 인터넷 발명으로 많은 사람이 서로 연결되고,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생명을 살린 것이 그 예다.

 

기술은 곧 이미 시스템이나 계획이 잘 돌아가고 있을 때 그 효과를 극대화하는 지렛대라는 설명이다.

 

만약 사회에 긍정적인 증폭이 실패했다면 기술 주변을 살필 것을 권한다. 기술만 중요한 변수로 보고, 그것을 도입하는 리더와 실행자 및 수혜자 등 사람에 대해 탐구하지 않은데서 비롯된 것이라는 지적이다.

 

훌륭한 교육과 시기적절한 기술 개입을 역설한다. 사회가 가야할 길은 기술 의존이 아니라 인간 존중인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기술을 켜는 스위치에 인간의 손이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시켜주는 논리에 한 인간으로서 안도감을 준다. 값 1만5천원

 

류설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