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테이와 연계해 재개발을 추진하는 부평 4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이 주민 간 찬반 논란을 빚고 있다.
찬성 측은 일반적인 재개발사업은 수익성이 나지 않아 지지부진한 만큼 뉴스테이와 연계해서라도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반대 측은 멀쩡한 집을 허물고 왜 평수가 더 적은 아파트로 옮기게 하냐며 반발하고 있다.
부평 4구역 내재산지킴이(가칭) 주민 이모씨(64)는 “조합원에 대해 찬반 투표를 다시 하던가, 뉴스테이 정비사업 후보 선정을 취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부평 4구역의 대다수가 일반 주택이고, 상태도 양호하다”면서 “아파트나 빌라보다 일반 주택의 보상 비율이 제일 적다”고 주장했다. 특히 “용적률을 높인다는데, 남향으로 지어진 집이 20층 이상 올라가면 부평가족공원이 보일 것”이라며 “누가 공동묘지를 바라보며 생활하고 싶겠느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다른 주민은 “정부와 지자체가 시급하게 사업을 추진하면서 설명기간이 짧아 노인들이 내용을 잘 모르고 찬성했다”며 “부평2동과 부평6동은 고령자가 많은데 월세나 전세를 받아 생활하는 노인들은 쫓겨날 경우 먹고살 길이 막막하다”고 하소연했다.
반면, 김형규 부평 4구역 주택재개발 정비사업 조합장은 “사업에 반대하는 주민은 원래 재개발사업 때부터 반대했던 사람들로 일부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보상 문제에 대해 “감정평가를 해 공시지가와 주변 시세, 사업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보상금을 결정하는 만큼 제대로 보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조망권 문제와 관련, “드론을 띄워 시뮬레이션해 본 결과 37층 높이 정도로 올라갔을 때 공동묘지가 보였다”며 “손실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 토지 등 소유자의 비례율을 100% 정도로 맞추는 만큼만 용적률이 상향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조합장은 “지난 3월 22일 총회 때 조합원의 87.7%가 동의했고, 200명 이상의 주민이 찾아와 설명을 들었다”며 “아파트 분양 신청을 하지 않은 사람은 관리처분계획 인가 후에 현금으로 보상받을 예정”이라고 답했다.
한편, 부평 4구역은 부평구 부남로 17번길 27-6 인천성모병원 서측 일원 8만 720.2㎢ 규모로, 지난 2월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 후보구역으로 선정됐다. 현재 기업형 임대사업자 우선협상대상자로 한국자산투자신탁이 선정돼 신용평가가 진행 중이다.
김덕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