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3당이 20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원구성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의 국회의장-법제사법위원장 배분 논쟁에 예결위원장과 운영위원장이 포함된 논쟁까지 더해지면서 험로가 예상된다.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22일 한 언론 인터뷰에서 “원칙적으로는 제1당이 국회의장을 갖는게 원칙이고 관례로 봐서나 국회의 성격상 다른 당이 법사위원장이 가져와야 하지만, 여당이 예결위원장과 운영위원장을 포기할 수 없다고 하면 국회의장과 관계없이 법사위원장도 야당이 갖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렇게 하는 것이 정부의 입법 제·개정권을 견제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박 원내대표의 이같은 발언은 기존에 국회의장과 법사위원장이 분리되서 여야에 할당돼야 한다고 주장했던 내용에서 입장이 선회한 것으로 5ㆍ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임을위한행진곡’ 제창 불발 이후 새누리당보다는 더불어민주당에 힘을 실어주는 듯한 뉘앙스다.
더민주 역시 기존의 국회의장-법사위원장 논쟁에 예결ㆍ운영위원장을 포함한 협상안을 제시했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지난 20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새누리당이) 만약 예결위원장, 운영위원장, 법제사법위원장을 주시겠다면 국회의장을 양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부에서 제기되던 국회의장과 법사위원장의 분리 배분 주장에 대해 “그렇다면 새누리당이 국회의장을 가져가고 예결위원장, 운영위원장, 법사위원장을 더민주가 갖는 게더 낫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