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노점상에 시내 공원은 몸살중] 1. 관리주체 ‘제각각’

단속 이원화 ‘메뚜기 영업’ 부채질

▲ 22일 오후 1시 30분께 인천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내 해돋이 공원에 이용객들이 많은 곳에 노점상들이 자리를 잡고 있는 모습.
▲ 22일 오후 1시 30분께 인천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내 해돋이 공원에 이용객들이 많은 곳에 노점상들이 자리를 잡고 있는 모습.

인천시내 송도국제도시 센트럴파크와 해돋이공원 등 시민에게 큰 인기를 끄는 대형 공원에 점점 불법 노점상이 자리를 잡고 있다.

하지만, 공원 안팎의 관리 주체가 각각 달라 이들에 대한 단속은 사실상 이뤄지지 않는다. 노점상이 공원 안에서 영업하다 단속반이 뜨면 공원 밖으로 빠져나가 영업하고, 공원 밖에 단속반이 뜨면 다시 공원 안으로 도망치는 ‘메뚜기 영업’을 하기 때문이다.

 

현재 인천시내 10만㎡ 이상 대규모 공원 29곳은 모두 인천시가 시설관리공단 등을 통해 관리하고 있지만, 공원 주변 도로 등은 해당지역 기초자치단체가 관리하는 등 공원과 주변의 단속이 이원화되어 있다. 

가끔 대대적인 합동단속이 벌어지지만 그뿐이고, 공원 안팎에선 불법 노점상의 메뚜기 영업이 단속을 비웃으며 이뤄지고 있다.

 

본보는 2차례에 걸쳐 대형공원의 불법 노점상의 실태를 들여다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찾아본다.

 

22일 오후 1시 30분께 인천 송도국제도시 내 해돋이공원엔 인근에 사는 외국인 50여명이 무리를 이뤄 공원 한켠에 자리 잡고 레크리에이션 등 놀이를 하며 한가로운 주말을 만끽하고 있다. 이 공원은 인근 주민과 이곳을 찾은 시민들로 자리잡기가 힘들 정도로 붐빈다.

 

인파가 붐비는 탓인지 곳곳에는 솜사탕을 비롯해 간식, 음료, 장난감 등을 파는 10여개의 불법 노점상이 성업 중이다. 바람 먼지가 날리는데도 음식물을 진열해 놓고 판매하는 노점상은 비위생적인데다 음식물 포장지 등의 쓰레기 양산은 물론 주변 상인들의 불만을 유발한다.

 

A씨(45·여)는 “먼지 등 비위생적인 음식을 파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며 “노점상이 때로는 이용객들에겐 필요할 때도 있지만, 이렇게 한두개씩 늘어나는 것을 놔두면 나중에는 시장처럼 변할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비슷한 시각 인근의 센트럴파크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많지는 않지만 아이스커피와 음료수 등을 판매하는 소규모 노점상만 여러개가 눈에 띄었다.

 

이처럼 인천지역 대규모(10만㎡ 이상) 공원에 시민 보건위생을 위협하는 불법 노점상이 증가하면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22일 시와 기초자치단체 등에 따르면 본격적인 행락철이 시작된 지난 3월부터 주말마다 공원 주변 상인 등으로 부터 수십건의 불법 노점상에 대한 민원이 접수되고 있다.

 

하지만, 이 민원은 관리주체인 인천시에서 위탁업무를 맡은 시설관리공단으로 넘어가거나 공원 주변 인도·차도 등의 경우 또다시 지자체로 민원이 이첩되는등 처리가 지연된다.

 

이러다보니 노점상들은 공원안에서 영업을 하다 시설관리공단이 단속을 벌이면 곧바로 공원밖으로 나와 영업을 하고, 지자체가 공원밖에서 단속을 하면 다시 공원안으로 들어가는 ‘메뚜기 영업’을 하며 자리를 굳혀가고 있다.

 

지자체의 한 관계자는 “단속을 나가면 (노점상이) 공원 안팎을 드나들며 단속권이 없는데 왜 간섭하냐며 항의를 한다”며 “합동단속 등으로 노점을 단속하고 있지만 그때 뿐이다. 상시적으로 단속을 벌여야 불법 노점상을 근절할 수 있을텐데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인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