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학교가 구조조정을 둘러싸고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교육부가 추진하는 프라임(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사업에 공모했다가 지난 4일 탈락한 후 교수들이 최순자 총장 사퇴를 요구한 데 이어 구조조정을 반대하는 학과장 보직 교수들이 학교 측에 보직 사퇴서를 제출하는 등 사태악화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인하대는 지난해부터 프라임 사업에 선정되기 위한 학제개편을 놓고 학생, 교수, 대학본부가 첨예한 갈등을 빚어왔다. 올 들어서도 갈등이 봉합되지 않은 채 교육부가 산업 수요에 맞추어 인문사회계 정원은 줄이고 이공계 정원을 늘리는 대학에 연 150억 원씩 3년간 450억 원을 지원하는 프라임 사업에 공모하면서 학내 갈등과 마찰은 걷잡을 수 없이 심화됐다. 대학 측은 프라임 사업에 선정되면 단과대학을 10개에서 7개로 통합하고 유사학과를 융합해 59개를 52개로 줄이는 구조조정을 단행할 계획이었다.
문제는 학교 측이 프라임 사업 탈락 이후에도 원안 중 일부를 축소 추진하면서 갈등이 재연됐다. 교수회는 “최 총장은 교내 구성원과 합리적인 논의 없이 대학본부가 독단적으로 계획한 구조조정안을 토대로 229명 정원 재배치 학칙개정안을 공시했다”며 일방적 구조조정 강행을 문제 삼았다. 교수회는 대학 구조조정은 학칙 상 교수회의의 심의를 거쳐야 함에도 일방적으로 공시, 학칙을 위반했다며 총장 거취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며 강경한 자세다. 총학생회도 이에 동조하고 있다.
그러자 학교 측은 당초 2017년 인문, 경영, 사회 등 관련 학과정원 154명을 감축하려 했으나 교수, 학생들의 반발 때문에 64명으로 줄이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대상학과 교수들은 그래도 이를 수용할 수 없다며 문과대 9개 학과장 보직교수 전원이 학교 측에 보직 사퇴서를 제출, 사태가 악화되고 있다. 학사운영이 마비상태로 개교 이후 최대 위기다.
이 같은 사태는 교육환경 변화에 기인한다. 저출산 여파로 2023년이면 고교 졸업생은 40만명으로 줄어드는 반면 현재 대학 입학 정원은 56만명에 이른다. 지금대로라면 16만명을 줄여야 한다. 그런데 지금처럼 대학 구조조정이 지지부진하면 취업실적이 적어 취약한 대학은 학생 부족으로 자연도태의 위기 사태를 맞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 이는 적자생존 전략이기도 하다. 인하대 구성원들은 이런 현실을 냉철하게 주시하고 판단해야 한다. 다만 이해가 첨예한 만큼 구성원들이 납득할 수 있는 조정안을 도출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