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빈센트병원 홍승철 교수팀 조사 결과, 행복감 17%↑, 집중력 18%↑
등교시간 연장이 청소년 삶의 질 높인다…성빈센트병원 홍승철 교수팀 조사 결과, 행복감 17%↑, 집중력 18%↑
등교시간 연장이 청소년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승철 교수팀은 경기도내 중학생과 고등학생 367명을 대상으로 등교시간 연장 전과 시행 후 2개월과 12개월에 청소년이 느끼는 행복감과 수업 집중도, 아침식사 횟수 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29일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 청소년이 등교시간 연장 전 전반적인 행복감은 10점 만점에 5.71점에서 시행 2개월에 6.56점, 시행 1년 후 6.68점으로 상승했다. 수업시간 집중도도 10점 만점에 5.63점에서 6.31점, 6.66점으로 높아졌다.
또 일주일동안 아침 식사를 챙겨 먹는 횟수는 4.78회에서 시행 2개월 후 5.34회, 시행 12개월 후 5.60회로 소폭 늘었다. 등교시간 연장 후 지각 횟수와 수업 중 졸린 정도는 감소했다.
반면 청소년들의 총 수면 시간은 늘어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홍승철 교수팀은 등교 시간 연장으로 수면 패턴이 점차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일주기 리듬으로 일치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청소년기에는 수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성인에 비해 2시간정도 늦게 분비돼 성인에 비해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생물학적 수면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 교수는 “등교 시간 연장이 청소년 특유의 수면 패턴이 유지될 수 있도록 환경 요건을 만들어 준 것으로 판단되며 전반적인 수면의 질과 정서, 학교생활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3월 대만에서 열린 국제소아수면학회에서 발표한 바 있다.
류설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