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도시철도 건설본부 해명 불구, 시민단체 “사고축소 가능성”
인천도시철도건설본부는 30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고원인은 관제사와 기관사의 부주의이며 향후 무인운전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인천도시철도건설본부는 “사고발생 원인은 시공사 소속 기관사의 전방 주시 소홀과 관제실과 기관사의 연락 소홀로 파악됐다”며 “신호시스템에 의한 무인운전 시에는 열차방호시스템(ATP)이 작동돼 이와 같은 추돌사고가 발생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공사 기관사들이 수동운전으로 맞춰놓고 열차를 운행하다 일어난 사고”라며 “시험운행 중에는 비상모드 사용을 금지토록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교통공사 노조 등 지역 시민단체 30여 곳으로 구성된 ‘안전한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을 위한 시민대책위’(이하 대책위)는 도시철도건설본부가 사고를 축소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관련 자료를 모두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대책위는 “관제실 컴퓨터에 열차 이동 상황과 시간, 기관사와 관제실의 녹음 파일까지 저장돼 있다”며 “이를 공개하고 철저히 검증해 사고 원인을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개통 후에 이 같은 열차 추돌사고가 발생하면 시민 안전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사고 발생 시 현장에 출동하는 기술부서 사무소 위치도 인천도시철도 2호선 구간 양끝에 1호선에 비해 긴급상황에 대한 대처가 늦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무인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인천도시철도 2호선은 6월 종합시험 운전을 거쳐 7월30일 전면 개통된다.
김덕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