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75세 이상 고용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조사 결과 1위로 나타났다.
3일 OECD에 따르면 2014년 기준 한국의 65세 이상 고용률은 31.3%로, 34개 회원국 중 아이슬란드(36.2%)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한국의 수치는 OECD 평균(13.4%)의 2.3배에 달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75세 이상 고용률에서는 19.2%로 비교 대상 24개국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OECD 평균은 4.8%로 한국의 4분의 1수준이었다. 이 조사에서 아이슬란드는 비교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노후대비가 되지 않은 고령층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이준협 현대경제원 연구위원은 "선진국은 생산 가능인구 연령대 이후엔 연금 소득으로 살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연금제도가 제대로 받쳐주지 못해 은퇴 후에도 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선진국은 생산 가능인구 연령대(15∼64세) 이후엔 연금 소득으로 살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연금제도가 제대로 받쳐주지 못해 은퇴 후에도 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도 "노후 대비가 제대로 안 돼있다 보니 은퇴할 수 없는 삶을 살 수밖에 없게된 것"이라면서 "다른 나라보다 상대적으로 공공근로 사업이 잘 돼 있어 고령층이 공공근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 전체 자영업자 중에서 고령층의 비중이 높은 점도 그 이유"라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75세 이상 고용률,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