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으로 교통 체증 등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IoT 융ㆍ복합 시범단지를 만든다.
올해 약 20억원이 투입되고 민간기업과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진행한다. IoT는 사람ㆍ사물ㆍ공간ㆍ데이터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돼 정보가 생성ㆍ수집ㆍ공유ㆍ활용되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신산업 성장으로 경제성장을 이끌려는 정부가 중점적으로 육성하는 분야 중 하나다.
6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IoT 융ㆍ복합 시범단지에 대한 지자체ㆍ기업 컨소시엄 대상 공모 결과 고양시ㆍ엘지유플러스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앞으로 2년 동안 IoT를 활용해 고양시의 도시문제를 해결한다. 고양시는 시민, 관계 기관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에 필요한 안전, 환경, 에너지 등 3개 현안 분야 및 서비스를 정했다. 고양시 호수공원에 대기질 측정 센서를 설치하고 시민과 환경정보를 공유하는 ‘맑은 환경알림 기능’이 그 중 하나다.
또 IoT 중소기업 지원 사업을 통해 역량 있는 중소ㆍ벤처기업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제품ㆍ서비스로 사업화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미래부는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자유롭게 발전할 수 있도록 특정한 영역을 정하지 않은 자유공모로 진행했다. ‘서비스 검증ㆍ확산’ 및 ‘융합제품 상용화’ 부문에서 총 28개 과제를 선정했다.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기기와 스마트폰을 연결해 요양원 환자 대상의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을 현장 적용하는 스마트요양원 건강관리와 도시철도에서 재난 상황 발생 시 승객 위치에 따른 최적 대피 경로를 화면 및 음성으로 제공해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재난안전 비상대피 시스템이 눈에 띈다.
미래부 관계자는 “민ㆍ관 협력 기반의 IoT 지원 사업을 통해 역량 있는 IoT 전문 기업을 육성하고 IoT로 시민의 삶의 질을 높여 IoT 시대를 앞당기는 데 주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정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