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고온과 가뭄 등의 여파로 올해 1분기(1~3월) 채소류 물가가 최대 60% 이상 급등(본보 6일자 8면)한 가운데 본격적인 여름 시즌을 앞두고 채솟값이 하락세로 돌아섰다.
5월 중순부터 봄무 등 주요 채소의 출하량이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으로 채소류 상승에 따른 장바구니 부담을 당분간 덜 수 있을 전망이다.
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가락시장 기준으로 5월 배추(상품ㆍ10㎏)와 무(상품ㆍ18㎏)의 평균 가격은 각각 1만350원, 1만2천276원이다.
전월 대비 배추는 30.6%, 무는 13% 하락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배추 112.4%, 무 118.1% 수준으로 여전히 가격이 높지만, 5월 하순 들어 배추는 8천410원, 무는 1만1천510원까지 떨어지면서 가격대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오히려 낮거나 비슷한 수준까지 내렸다.
대파(상품ㆍ1㎏)도 5월 평균 가격이 전월 대비 13.7%, 전년 동기 대비 10.2% 하락했고, 감자(상품ㆍ20㎏)는 전월 대비 14%, 작년 동기 대비 37% 떨어졌다. 양파(상품ㆍ1㎏)도 전월 대비 54.2%, 작년 동기 대비 19.8% 내렸다.
이 같은 채소 가격 하락세는 이달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6월 배추의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11%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가격이 5월의 절반 수준인 10㎏당 5천원 안팎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무도 6월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9%가량 증가해 18㎏당 9천원 정도까지 시세가 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대파도 6월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11%가량 증가해 전월(1천810원)보다 낮은 1천300~1천600원대에 가격대가 형성될 전망이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