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취업난 속에서도 신입사원 4명 중 1명은 1년 안에 회사를 그만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급여 등에 대한 불만이 주된 퇴직 사유로 꼽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306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6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를 실시해 6일 발표한 결과를 보면, 대졸 신입사원의 1년 내 퇴사율이 27.7%에 달했다. 대졸 신입사원의 조기퇴사율은 지난 2012년 23.6%, 2014년 25.2% 등 해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경총은 대졸 신규인력의 업무성취 만족도 등을 분석해 기업의 신입사원 채용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2년에 한번 해당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상시 근로자 300인 이상 기업의 퇴사율은 지난 2014년 11.3%에서 9.4%로 낮아졌으나 300인 미만 기업의 퇴사율은 31.6%에서 32.5%로 높아졌다.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퇴사율이 높았던 셈이다.
이와 함께 입사 1년 내 구간별 누적 퇴사율은 1개월 내 퇴사 비율이 4.6%, 3개월 내 11.4%, 6개월 내 17.5%, 9개월 내 22.2%, 12개월 내 27.7%로 집계됐다. 입사 3개월 내 퇴직자가 많고 9개월까지는 퇴사율이 감소하다가 입사 9~12개월 사이에 다시 퇴사율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신입사원들이 조기 퇴사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2명중 1명이 ‘조직ㆍ직무적응 실패’(49.1%)를 꼽았다. 이어 ‘급여ㆍ복리후생 불만’(20.0%), ‘근무지역ㆍ근무환경에 대한 불만’(15.9%) 등 순이었다. 경총은 입사 초기에는 조직 부적응 등에 대한 불만으로 퇴직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입사 9~12개월 사이의 퇴직은 다른 직장으로의 이직이 주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조기퇴사 확산 추세에 기업들은 ‘직무역량과 적성을 감안한 현업배치’(51.3%), ‘멘토링 등을 통한 애로사항 파악’(46.0%), ‘비전 제시’(36.3%) 등을 통해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조기퇴사율이 높아지면서 기업들이 생각하는 신입사원 만족도는 떨어졌다.
올해 기업들의 만족도는 76.0점을 기록해 지난 2014년 76.2점에서 소폭 내려갔다. 특히 조기퇴사율이 낮아진 300인 이상의 기업의 경우 신입사원 만족도가 상승(78.5→79.8)했으나 조기퇴사율이 증가한 300인 미만 기업의 신입사원 만족도는 하락(75.2→74.8)했다.
경총 관계자는 “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신입사원 조기퇴사율을 낮추려면 이들의 조직 적응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관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