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0박 12일간의 외교 강행군으로 인한 피로 누적으로 일정을 잡지 않고 당분간 공식 일정을 잡지 않고 정국 구상에 나섰다.
청와대 정연국 대변인은 7일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의 공식 일정은 없다”면서 “주치의가 쉬라고 권고한 상태”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최근 여소야대 상황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과 국회법 거부권 정국으로 청와대와 야권의 갈등이 심화돼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로 청와대와 정부의 대야관계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야 3당은 세월호특별법과 가습기 살균제 사태, 어버이연합 사태 등과 관련해 특별법과 청문회를 추진하겠다며 공조를 펼치는 등 벼르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기업 구조조정과 관련해 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어 박 대통령이 어떤 식으로든 해법을 제시해야 하는 상황이다.
나라밖 사정도 만만치 않다. 박 대통령이 정상외교를 펼치는 기간 한반도정세는 복잡하고 숨 가쁘게 돌아갔다.
리수용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은 박 대통령의 순방 기간 전격적으로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주석을 만나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인사와 구두 친서를 전달하고 ‘핵ㆍ경제 병진노선’을 지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와 함께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는 한층 더 복잡하게 꼬여가는 양상이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