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환경단체,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 논의 위한 민관협의체 구성 필요성 주장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 사업이 예산확보에 난항을 겪는 가운데(본보 7일 자 3면) 일반도로화 구간 활용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민관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천지역 환경단체들의 모임인 2016인천지구의날조직위원회는 9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천시가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구간에 대한 다각적 검토와 논의 없이 도로 기능만 강조해 교차로 건설계획을 내놓는 등 일방적 행정을 보이고 있다”며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구간 활용방안을 시민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논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1968년 개통된 전국 최초의 고속도로인 경인고속도로는 그동안 인천지역을 동서로 가로질러 도시단절을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통행료, 소음, 배기가스, 분진 등으로 시민들에게 손해를 끼쳐왔다”며 “이 때문에 경인고속도로 구간을 단지 도로기능만이 아니라 녹지 등 공공의 장으로 활용할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인고속도로 서인천IC~인천항 IC 구간(10.4㎞)은 지난해 시와 국토부가 맺은 협약에 따라 내년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준공시점에 맞춰 시로 이관된다. 이 과정에서 국토부는 국비 지원근거가 없다며 도로 개량비용 지원에 난색을 보여 재원문제에 비상이 걸렸다.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시가 일반도로화 사업을 일방적으로 추진하기보다 충분한 시간을 두고 시민들과 활용방안을 논의하자는 차원에서 민관협의체 구성을 요구하는 것”이라며 “국비지원문제 역시 시민들과 함께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